이 연구의 목적은 현 코로나 시대에 심신의 피곤함을 느끼는 현대인들에게 크로모 디자인을 활용한 서비스 공간의 테라피 특성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크로모테라피에 관한 연구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대부분 건강의 회복, 심리적 치유와 마케팅 중심의 분석연구였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많은 사람들이 심신의 건강과 휴식, 대면 관계에서 오는 불안함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공간과 환경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재 컬러 디자인을 활용한 서비스 중심 공간 사례연구를 통하여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되는 크로모테라피의 특성을 제안,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2018년 이후 국내·외 서비스 살롱 사례에 나타난 컬러 디자인 분석을 통해 테라피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크로모테라피 용어의 재정립과 컬러의 시각적 인지특성, 크로마테라피의 사용 특성 및 그에 다른 효과를 해석, 정리하였다. 앞선 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연도별 유행 컬러가 적용된 공간을 분석하여 컬러가 주는 아이덴티티와 인간에게 미치는 테라피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컬러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컬러 아이덴티티는 공간을 사용자에게 심미적, 심리적, 정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테라피의 관점에서는 인간관계를 형성, 유지하는데 정신적, 신체적 안전함과 서로 서로의 관대함에 대한 효율성을 높여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코로나로 힘들어진 사회적 관계 맺기와 휴식문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본 컬러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인 크로모테라피의 특성 중 빛에 관한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a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salon design that applies the chromotherapy for the modern people who feel the fatigue of the mind and body in the present era of the COVID-19. Although the research regarding chromotherapy had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most of them had been the analytical researches that had been centered on the recovery of the health, the psychological healing, and the marketing. However, after COVID-19, many people came to think about new space and environment to relieve the anxiety caused by mental and physical health, rest, and face-to-face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propose and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romotherapy that are safely used without side effects through a case study of a service-centered space using the current color design.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rapy through color design analysis shown in domestic and foreign service salon cases since 2018. For an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the color design that was applied to a space by regulating it as the experience-type service salon space, regarding which the re-establishment of the term ‘chromotherapy’ and the user’s cognition experience became the background, had been analyzed. As such, in this research,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the chromotherapy to which 6 colors- including white, green, red, neutral, pattern, black color, etc., which were confirmed the most were drawn. As its result, regarding the salon to which chromotherapy had been appli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dentity of the natural color, it can give the influences positively, aesthetically,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to the user who uses the space.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formation of human relations as a service space, the efficiency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 and generosity is increased. And, based on the research in this color field, as a follow-up research, I plan to continue the research regarding the light amo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hrom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