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0.89.112
18.220.89.112
close menu
}
KCI 등재
구 유럽문화를 향한 웨스 앤더슨 감독의 노벨레적 판타지: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에서의 슈테판 츠바이크 수용
Wes Andersons novellistische Fantasie nach der alteuropäischen Kultur: Stefan Zweig - Rezeption im Film Grand Budapest Hotel
김혜진 ( Kim Hye Jin )
독일어문화권연구 31권 261-283(23pages)
UCI I410-ECN-0102-2023-800-000760481

웨스 앤더슨의 오스카 수상작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의 엔딩 크레잇에 “슈테판 츠바이크 작품의 영감을 받아서” 라고 작가의 실명이 표기되어 있다. 앤더슨 감독은 츠바이크 전기 작가와의 인터뷰에서도 “나는 슈테판 츠바이크로부터 훔쳤다”라는 표현으로 영감의 밀도를 위트있게 드러냈다. 이 영화가 전작을 능가했다고 판단할 만한 근거는 이미 정평이 나 있는 시각적 완성도 보다 그렇게 만들어진 판타지 세계를 관류하는 역사적 맥락, 즉 츠바이크의 노벨레적 특징을 비롯하여 그의 시대와 문화, 그리고 코스모폴리탄적인 그의 이상이 함의된 스토리텔링에 있다. 미완의 소설인 『변신의 도취』를 비롯하여 직접 인용된 『초조한 마음』 그리고 무엇보다 망명 시절에 썼던 츠바이크의 회고록인 『어제의 세계』가 영화의 전반적인 구조와 주제에 영향을 미친다. 츠바이크를 경유한 화려한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은 한때는 영광스러웠던 몰락한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의 환유적 성격을 띠며, 그 잔여물 위에서 여전히 제국 시민처럼 환상 속에 살아가는 구스타프는 슬픔과 상실의 정조를 내포한다. 그러나 이 영화의 목적은 환상적인 한 편의 어드벤처에서 맺게되는 무슈 구스타프와 무슬림인 제로의 우정 그리고 그들을 돕기위해 연대했던 십자열쇠협회와 같은 범 세계적인 연대에 대한 상상과 희망에 있다. 코스모폴리탄적인 세계를 꿈꿨던 츠바이크와 결은 다르더라도 앤더슨의 코미디의 지향점은 츠바이크의 이상과 본질적으로 동류이다.

Wes Andersons Oscar-prämierter Film Grand Budapest Hotel entführt die Zuschauer in eine märchenhaften Fantasiewelt. Anderson markierte den Einfluss Stefan Zweigs auf dem Film klar in seinen Credits und benutzte sogar den Ausdruck, “Ich hatte von Stefan Zweig geklaut”, in einem Interview mit Zwieg-Biograph George Prochnik. Strukturell und inhaltlich ist dieser Fil m von Stefan Zweig inspiriert. Nicht nur Zweigs Novel l en Rausch der Verwandlung und Ungeduld des Herzens sondern vor al l em seine Memorien Die Welt von Gestern faszinierten den Regisseur: Ganz andersonisch nimmt er die Rahmenerzählung der Novelle in den Film auf, der sich auf die Glorie der alteuropäischen edlen Kultur und hohen Geist vor dem Ersten Weltkrieg und ihre Verschwinden konzentriert, und diese mit Zweigs weltweitem Ruhm und Untergang im Exil parallelisiert. Das unrealistisch prächtiges Grand Budapest Hotel und sein Concierge Monsieur Gustaves Tünche weisen metonymische Merkmale auf. Daher ist der Film ein Art von schräger Komödie. Das Ziel des Films aber ist der Aufbau der kosmopolitanischen Solidarität wie Freundschaft zwischen Monsieur Gustave, dem halb arabischen und halb jüdischen Lobby Boy Zero Moustafa und The Society of Crossed Keys, einer heimlichen Helforganisation, wesentlich ähnlich wie die Welt, von der Zweig geträumt hat.

Ⅰ. 서론
Ⅱ. 웨스 앤더슨의 츠바이크 컬렉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Ⅲ.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