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91.198.56
18.191.198.56
close menu
}
KCI 등재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and Working Alliance
차지윤 ( Cha Jee-yoon ) , 이영애 ( Lee Young-ae )
DOI 10.17641/KAPT.25.4.1
UCI I410-ECN-0102-2023-100-000868096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가 지각한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청소년 및 성인 대상 상담자 292명이었으며 발달수준 척도, 작업동맹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모형적합도 및 변인 간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팬텀변수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쩨.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발달수준과 작업동맹, 발달수준과 정서인식명확성, 작업동맹과 정서인식명확성 간에는 각각 모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과 발달수준, 작업동맹, 정서인식명확성 간에는 모두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가 지각한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소진의 완전매개효과 및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작업동맹을 높이기 위해 상담자가 지각한 발달수준 뿐 아니라 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이고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and working alliance. A total of 292 certified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ompleted Korean Counselor Level Questionnaire(KCLQ), Working Alliance Inventory(WAI), Trait Meta-Mood Scale(TMMS),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For the data analysis, SPSS 25.0 program and AMOS 25.0 program were used. Also,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primary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were full mediating variables,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findings show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are important variables in increasing working allia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