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71.166
3.12.71.166
close menu
KCI 등재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출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직장 유형을 중심으로
Sector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Fertility among Married Females
신자은 ( Ja-eun Shin )
UCI I410-ECN-0102-2023-300-000905658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과 총 자녀 수, 자녀 유무, 둘째아 여부 및 추가 출산 의향과의 관계를 직장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2009~2018년 자료의 기혼여성 표본에 대한 포아송 모형, 이항 로지스틱 모형 및 성향점수 매칭 평균처리효과 모형 분석을 시행한 결과, 기혼여성의 취업, 특히 민간부문 및 중소기업 취업은 총 자녀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었다. 공공부문 취업, 특히 정부기관 취업은 총 자녀 수와 둘째아 출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여성의 취업과 출산과의 관계는 직장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고용 안정성, 일·가정 양립 지원 등 근로조건의 개선과 사각지대 해소가 저출산 대응에 유효한 정책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mployment on fertility among married females with an emphasis on sectoral differences. Using a pooled data of the 2009-2018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the poisson models, logistics models and propensity-score matching estimations for average treatment effect are conducted. Results show that employment of married female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rtility but this association is mainly attributed by private sector employment, in particular, at the large and medium-size firms. Public sector employment and regular employment have positive associations with fertility.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fertility depends on sectors. Work-life balance support such as paid maternity leave and career interruption relaxation, if enhanced in all sectors, would promote both female career development and fertility.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 자료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