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Cognitive Style and Size Percep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언택트 시대에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여러 분야에서 가상현실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가상현실은 현전감과 몰입감이 중요한 만큼, 이를 위해 가상현실로 구현된 공간과 물체의 크기에 대한 인식이 적절하게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각적 인지 방식으로 파악되는 개인의 공간지각이 다른 경우, 가상현실로 구현된 공간에서 물체의 크기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실제환경에서는 개인의 공간지각 차이로 인한 과제 수행에 차이가 있다는 경향이 밝혀졌으나, 가상환경에서도 이러한 차이가 지속되는지 혹은 낮은 공간지각의 소유자라 하더라도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을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참여한 실험 결과, 개인의 공간지각 차이로 인한 가상현실 상의 물체의 크기 인지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가상현실에서는 개인적 공간지각의 차이가 상쇄되거나 줄어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증가되는 가상현실기술을 산업과 교육에 도입함에 있어 공간지각으로 인한 개인 차이가 상쇄되는 만큼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에 더욱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성의 근거를 제공한다.
In an untact society, the use of virtual reality has increased in diverse areas, including education and entertainment. Because presence and immersion are important, it is essential to properly perceive the size of object and environment in virtual rea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size perception in individuals with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represented by their visual cognitive styles. Scholars have reported different tendencies in performance according to spatial ability, but whether such differences exist in a virtual environment is as yet undetermined. An experiment in size perception i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was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nd the results showed no differences by spatial ability perhaps because virtual technology can reduce individual differences. Thus, it is rational to predict that people with low spatial ability could perform well in virtual environments. Results showed not only the need to develop more virtual realities because of their possibilites to decrease individual differences but also the need to apply them to industry and educa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한국건강미용문화 응용과학회지 |
4권 1호 |
|
3권 2호 |
|
20권 4호 |
|
48권 0호 |
|
17권 8호 |
|
16권 4호 |
|
3권 2호 |
|
21권 6호 |
|
3권 1호 |
예술논집 |
23권 0호 |
|
25권 2호 |
|
25권 3호 |
|
21권 2호 |
|
67권 0호 |
스포츠와 윤리 |
2권 2호 |
|
17권 7호 |
|
21권 5호 |
|
20권 3호 |
|
17권 6호 |
예술과 문화 |
2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