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flip-learning-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10.34244/JFOYS.2022.19.3.5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청소년들의 플립 러닝 기반 미술감상 활동의 실제 Ⅴ. 청소년들의 플립 러닝 기반 미술감상 활동의 의미 Ⅵ. 결 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플립 러닝 기반 미술감상 활동 경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플립 러닝 기반 미술감상 활동의 실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감상 활동에 대한 기대와 흥미 유발이다. 둘째, 미술작품 해석에 대한 자신감 향상이다. 셋째, 미술감상 활동을 통한 공감과 소통능력의 향상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는 만큼 더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의 시사이다. 둘째, ‘보는 미술’에서 ‘생각하는 미술’로의 전환이다. 셋째, 미술감상 활동을 통한 교육적 효과이다. 본 연구는 플립 러닝 기반 미술감상 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경험을 통해 학교 교육이 아닌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측면의 교육적 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플립 러닝 기반 미술감상 활동은 단순한 미술작품 관람을 넘어, 청소년들의 자신감과 공감·소통·미적 역량을 향상시켰으며,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플립 러닝 기반 미술감상 활동과 같은 문화예술교육이 학교를 비롯한 지역사회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활발하게 추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flipped learning-based art appreciation and assess the value of activitie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ctual practice of flip learning-based art appreciation are as follows: overall students experienced, firstly, the increased level of interest in and sense of expectations for art appreciation activities, secondly, the increased confidence in interpreting artworks, and lastly, the improvement of abilities to empathize and communicate. A number of positive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findings: first, a suggestion of the possibility that we can see more as we know more, second, a transition from 'watching art' to thinking art', and third, an educational effect through art apprecia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out-of-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on flip-learning-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Flip-learning-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went beyond simply viewing artworks, and improved the youth’s confidence, empathy, communication, and aesthetic capabilities, and the positive effect of nurturing imagination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various perspectives was verifi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actively promo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ch as flipped learning-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for adolescents through activ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30권 5호 |
|
6권 3호 |
|
19권 4호 |
|
29권 4호 |
|
13권 6호 |
|
20권 3호 |
|
5권 3호 |
|
26권 4호 |
|
19권 4호 |
편집학연구 |
3권 0호 |
경상논집 |
42권 1호 |
산업클러스터 |
2010권 0호 |
문화와 세계 |
3권 2호 |
|
65권 0호 |
|
7권 4호 |
|
39권 0호 |
|
63권 0호 |
|
9권 0호 |
|
29권 0호 |
|
4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