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10.34244/JFOYS.2022.19.3.3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예방과 완화를 위하여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경로에서 친구관계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PYS) 자료 중 3차년도(2020년) 자료인 중학교 3학년 데이터이며, 모든 항목에 결측치 없이 응답한 2,359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 및 PROCESS macro의 PROCESS macro Model 4, 1, 7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우울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친구관계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로 인하여 우울이 높아져, 스마트폰 의존을 보이는 청소년에게 개입할 때, 친구관계를 파악하고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해주었다.
In order to prevent and alleviate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is examines whether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can have an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ir smartphone dependency linked to depression which stems from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To this end,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PYS) were used, and 2,359 people who responded to all items without missing values were used for analysis. To verify this research problem, SPSS 23.0 and PROCESS Models 4, 1, and 7 of SPSS PROCESS Macro 3.5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friend relationship wa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Third, in the path where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mediates depression and affects smartphone dependenc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riend relationship was confirmed. Accordingly, when intervening in adolescents who are highly dependent on smartphones triggered by depression caused by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the need for intervention to identify and improve peer relationship was suggest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30권 5호 |
|
6권 3호 |
|
19권 4호 |
|
29권 4호 |
|
13권 6호 |
|
20권 3호 |
|
5권 3호 |
|
26권 4호 |
|
19권 4호 |
편집학연구 |
3권 0호 |
경상논집 |
42권 1호 |
산업클러스터 |
2010권 0호 |
문화와 세계 |
3권 2호 |
|
65권 0호 |
|
7권 4호 |
|
39권 0호 |
|
63권 0호 |
|
9권 0호 |
|
29권 0호 |
|
4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