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ystematic Review on Trends in Research on Adolescent Victims of Prostitution: Focusing on Papers in Korean Academic Journals
10.34244/JFOYS.2022.19.3.1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매매 피해 청소년을 다룬 기존 논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웹 기반 학술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성매매 피해 청소년을 연구한 문헌을 검색하여 2001년에서 2021년까지 출판된 학술논문 중 설정된 연구대상의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20편을 선정하고 발행연도별, 연구분야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연구결과별에 따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매매 피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로 명칭이 변경되고 아동·청소년 대상 성매매를 엄격한 범죄 행위로 규정한 2009년 이후부터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다. 둘째, 사회과학(75%)과 복합학(25%)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고, 사회과학분야 중 사회복지학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질적연구 14편(70%), 양적연구 5편(25%), 혼합 방법연구 1편(5%)으로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넷째, 성매매 피해 청소년에 대한 연구주제는 심리·사회적 결정요인, 가출, 지속과 단절, 상습화 과정 등 성매매 피해 유입을 주제로 한 연구가 전체 20편 중 10편(50%)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매매 피해 청소년에 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existing papers on adolescent victims of prostitution in Korea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rough a systematic review. To this end, 20 final artic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mong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21 by using domestic web-based academic databases. The articles were then reviewed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fields, methods, and results.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adolescent victims of prostitution increased in number after 2009, when the「Act on the Protection of Youth Against Sex Offenses」was renamed to「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which strictly stipulated prostitu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s a criminal activity. Seco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75%) and complex studies (25%), and among the social sciences,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social welfare. Third, as for the research method, 14 qualitative studies (70%), 5 quantitative studies (25%), and 1 mixed method study (5%) were conducted, with qualitative studies taking up the highest proportion. Fourth, the 10 out of 20 studies focused on exploring what factors are involved in adolescents falling victim to prostitution such as psychological and social determinants, running away from home, continuation and disconnection, and habit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on adolescents affected by prostitu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30권 5호 |
|
6권 3호 |
|
19권 4호 |
|
29권 4호 |
|
13권 6호 |
|
20권 3호 |
|
5권 3호 |
|
26권 4호 |
|
19권 4호 |
편집학연구 |
3권 0호 |
경상논집 |
42권 1호 |
산업클러스터 |
2010권 0호 |
문화와 세계 |
3권 2호 |
|
65권 0호 |
|
7권 4호 |
|
39권 0호 |
|
63권 0호 |
|
9권 0호 |
|
29권 0호 |
|
4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