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ge Issue and Issue Voting in the 20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Ⅰ. 대의민주주의와 쟁점투표 Ⅱ. 쟁점과 후보자 선택 Ⅲ. 연구계획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이 논문은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치행태를 분석하고 이번 선거에서 관찰된 선거전략을 평가한다. 특히 쟁점에 대한 유권자 선호가 후보자 선택을 설명하는가를 검토하며, 어떤 유권자들이 어느 공약에 투표했는가를 살펴본다. 더 나아가 이 논문은 분열쟁점 전략에 초점을 두고 “이대남”이라는 프레임과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이 유권자들의 후보자 선택과 정책 선호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파악한다. 선거 후 실시된 설문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성가족부 폐지”와 “사드 추가배치” 공약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는 후보자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대 남성은 여타 유권자들과 다른 후보자 선택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정당에 대한 호감도 변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20대 남성은 다른 유권자들에 비해 “여성가족부 폐지”에 더 찬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분열쟁점 전략이 후보자 선택에는 효과적이지 못했으나, 관련 정책 선호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political behavior in the 20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issue preferences explain individual vote choice. By focusing on a wedging strategy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I delve into how a frame (framing gender issues as a war between males in their 20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a policy promise (abolishing a ministry dealing with gender issues: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fluence individual political behavior such as vote choice and policy preference. Analyzing survey data, this study reveals that voters tend to vote the campaign promises of abolishing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additional deployment of THAAD. Regarding the wedge issue, young male voters who are the target of the wedging strategy do not show a distinctive voting pattern compared to other voters. However, they tend to be more supportive for the campaign promise of abolishing the ministry.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campaign strategy is partially successful in the elec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동북아워치 |
6권 0호 |
|
18권 2호 |
국제정세전망 |
2023권 0호 |
|
37권 2호 |
|
14권 2호 |
|
18권 2호 |
정치와 공론 |
31권 0호 |
|
27권 2호 |
|
65권 4호 |
IFANS FOCUS (국문) |
2023권 2호 |
IFANS FOCUS (영문) |
2022권 33호 |
민주주의 이슈와 전망 |
79권 0호 |
|
37권 2호 |
정책연구시리즈 |
2022권 5호 |
|
38권 4호 |
|
36권 0호 |
평화들 PEACES |
1권 2호 |
|
6권 6호 |
|
43권 0호 |
|
15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