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ark Sides of Political Information Gathering via Media: Confirmation Bias and Disconfirmation Bias
10.20997/SR.23.3.1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합리적 유권자, 합리화하는 유권자 Ⅲ. 자료 및 변수 조작화 Ⅳ. 분석결과 I: 미디어 활용이 응답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Ⅴ. 분석결과 II: 확증편향와 비확증편향이 내집단 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성향에 미치는 영향 Ⅵ. 맺음말 참고문헌
이 연구는 제19대 대통령 선거 맥락에서 유권자들의 미디어 활용이 그들의 정치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활용이 유권자들의 확증편향 및 비확증편향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맺는지, 자신과 상반되는 정치 견해에 대한 관용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SNS를 통한 정치 활동을 촉진시키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미디어 활용에 의해 활성화된다고 판단되는 확증편향과 비확증편향이 정당과 후보를 기준으로 한 내집단 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도 밝힌다. 분석의 결과, 미디어를 통한 정치관련 정보의 습득이 가져오는 (1) 확증편향과 비확증편향의 강화 경향, (2) 상대방 진영에 대한 낮은 수준의 관용, (3) SNS34상에서의 활발한 정치 활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 증폭된 확증편향과 비확증편향은 정당 및 후보 중심의 내집단 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성향을 강화하는 경향과 상관관계를 맺는다는 단서도 얻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한국의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를 통한 정치 뉴스에의 노출이 ‘합리적 유권자’보다는 ‘합리화하는 유권자’의 재생산을 돕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그리고 미디어를 통한 정치 정보의 취득 행위는 궁극적으로 내집단 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성향을 강화시켜서 사회 내 상충하는 갈등을 해소하는 방향보다는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유권자들을 유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he media usage affects voters’ political behavior in the context of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The study tests several mutually related hypotheses: (1) whether the media usage fosters confirmation and disconfirmation bias; (2) whether exposure to political information via the media lowers voters’ tolerance toward those whose political positions are at odds with their own; (3) whether the media usage facilitates SNS-based political activities; and (4) whether confirmation and disconfirmation bias generate higher levels of in-group favoritism and right-wing authoritarianism. Results from data analysis suggest that political information gathering via the media tends to lead individuals to become ‘rationalizing voters’, who are, unlike ‘rational voters’, hard to be persuaded by getting more informed of political affair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136권 0호 |
|
82권 0호 |
|
29권 12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2권 19호 |
|
54권 4호 |
|
16권 3호 |
|
23권 2호 |
|
48권 3호 |
|
46권 4호 |
|
30권 2호 |
|
41권 0호 |
|
61권 0호 |
|
41권 0호 |
|
32권 2호 |
|
53권 2호 |
|
20권 2호 |
|
13권 3호 |
|
16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2권 18호 |
|
30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