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eng Shui in Yi Neung Tomb, Gwangpyeong-gun
Ⅰ. 서 론 Ⅱ. 이능묘 분석에 적용된 이론적 배경 Ⅲ. 이능묘의 풍수지리적 입지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풍수지리학의 적용이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 현대에서, 점차 소외되고 있는 음택풍수에 대한 요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적용되어지는 이론을 정립하고 사례지를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자수지(人子須知)』와 『조선의 풍수』에서 분류하는 용·혈·사·수(龍·穴·砂·水)에 맞춰 이론적인 정립을 한다. 이러한 형식논리를 따라서 하는 이유는 좌향론(坐向論)의 역사가 길지 않고 현재에도 여러 의견들이 분분하여 체계적인 논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풍수지리적 분석에서는 미흡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형국론(形局論) 또한 개인적인 관법이나 학파에 따라 동일 형태를 명명하는데도 천차만별로 나타나기 때문에 학술적인 관점에서는 활용하기 적절치 않다. 좌향론이 풍수지리 항목에서 한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 청대에 『지리오결(地理五訣)』에서 용혈사수와 동격으로 다루어진 이후이며, 현대에 이르러 용·혈·사·수·향의 다섯 항목으로 일반화되었다. 그러므로 좌향론과 형국론은 배제하였으나, 그 중 좌향론은 수구(水口)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수법편의 세부항목으로 첨부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 고에서는 음택풍수를 대상으로 하고, 형기론(形氣論)적인 부분을 근간으로 하여 광평군(廣平君) 이능묘(李能墓)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능묘는 풍수지리적인 분석을 시도하기에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이능묘에 대한 풍수지리적 분석을 『인자수지』의 용·혈·사·수의 네 개 항목으로 분석하여 명당의 부합정도에 대해 판단한다.
In modern times, where the application of feng shui geography is becoming more diverse, it is also necessary to demand for Eumtaek feng shui, which is gradually being alienated. It is intended to establish a theory and analyze it on the case paper. In this paper, theoretical establishment is made according to the (Yong, Huel, Sa, Su), which are classified in (InjaSuji) and (Pungsu of Joseon).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Lee Neung-myo in Gwangpyeong-gun is attempted based on Eumtaek Pungsu and based on the Hyeongs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his tomb because it has appropriate conditions for attempting feng shui analysis. Accordingly, the geomantic analysis of the tomb of Yi Neung is analyzed into four items: 龍·血·砂·水 of Injasuji, and the Size, precious, vulgar Stream of Myeongdang is judg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성균차이나브리프 |
11권 1호 |
|
66권 0호 |
|
32권 4호 |
성균중국관찰 |
41권 0호 |
|
24권 3호 |
|
15권 2호 |
|
27권 2호 |
|
45권 2호 |
|
11권 4호 |
|
25권 3호 |
|
29권 0호 |
|
34권 4호 |
|
7권 2호 |
|
15권 2호 |
|
24권 2호 |
|
32권 4호 |
|
32권 2호 |
|
30권 4호 |
|
41권 2호 |
|
24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