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aenggibokdeok Methodology
Ⅰ. 서 론 Ⅱ. 『천기대요』와 생기복덕법 고찰 Ⅲ. 사례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천기대요(天機大要)』는 중국 명나라 때 임소주(林紹周)가 지은 것이며, 조선 인조 14년(1636년)에 성여춘(成如櫄)이 발행하였다. 『천기대요』에 생기복덕법이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나이와 행사일의 일진이 속하는 팔괘 사이를 상지선동법으로 변괘하여 택일을 하는데 사용하는 남녀본명생기법(제1법)’이고, 나머지는 ‘택좌와 문향의 팔괘 관계를 상지선동법으로 변괘하여 판단하는 주택생기법(제2법)’인데,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차이가 있다. 제1법은 『천기대요』의 「혼인문」에 기술하고 있는데 원리적 근거로 구성론을 사용하여 8개 궁위별 길흉관계가 명확하나, 제2법은 『천기대요』의 「기조문」에 기술하고 있는데 ‘원리적 근거가 명료하지 않아서 주역, 음양, 오행, 방합과 반합, 정음정양, 형충파해, 원진, 현공대괘 등 여러 이론으로 길흉근거는 설명’을 할 수 있었으나, 8궁위별 길흉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제1법은 67%의 일치성, 제2법은 27%의 일치성을 보였고, 사례분석의 결과도 법칙의 명료성을 뒷받침하였다. 실무상에서도 제1법은 통용되나, 제2법은 비판적 견해가 있다.
The Cheongi-Daeyo was built by Im So-ju during the Ming Dynasty of China, and was published by Sung Yeo-chun the 14th year of King Injo’s reign (in 1636). There are two types of biological retrofit methods in the Cheongi-Daeyo, and the composition is different, One is methodologies of Saenggibokdeok in Men and Women Born Fate(Act No. 1), which is used to change the arms between the arms belonging to the age and the event day, and the other is methodologies of Saenggibokdeok in house(Act No. 2), which is determined by transforming the arm of Palgwe’s relationship between Taekjwa and Munhyang. as shown in the table below. The first law is described in the Marriage Monument of the Cheongi-Daeyo, and the second law is described in the Gijomun of the Cheongi-Daeyo, but the original evidence is not clear. The first law showed 67% concordance, while the second law showed 27% concordance, and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were related to the clarity of the law, and in practice, the second law is partially used but not supported by the majority.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66권 0호 |
|
32권 4호 |
성균중국관찰 |
41권 0호 |
|
24권 3호 |
|
15권 2호 |
|
27권 2호 |
|
45권 2호 |
|
11권 4호 |
|
25권 3호 |
|
29권 0호 |
|
34권 4호 |
|
7권 2호 |
|
15권 2호 |
|
24권 2호 |
|
32권 4호 |
|
32권 2호 |
|
30권 4호 |
|
41권 2호 |
|
24권 4호 |
성균차이나브리프 |
10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