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nce Factors of Tenant Satisfaction, Continuous Stay and Recommendation Intension of the Knowledge Industry Center - Focused on the Knowledge Industry Center in Goyang City -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본 연구는 직주근접 취지의 자족도시로 계획된 3기 신도시가 고양시 창릉에 지정됨에 따라 고양시의 자족도시 기능의 향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 자족시설인 지식산업센터의 입주자 만족도, 지속입주의향 그리고 적극적 수요창출요인인 추천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요약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접근성요인, 주변환경요인, 관리적요인, 주차환경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관리적요인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주변환경요인, 접근성요인, 주차환경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입주의향의 영향요인은 접근성요인, 정보·통신(ICT)서비스요인으로 나타났다. 접근성요인은 전반적 만족도에서도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요자의 선호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 지식산업센터의 입주 기업들은 종전의 제조업에서 지식, 정보산업의 확장으로 첨단지식산업 관련 사업체의 입주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적극적 수요창출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추천의향의 영향요인은 전반적인만족도와 지속입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접근성요인과 주차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리적요인과 정보·통신(ICT)서비스요인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지식산업센터에 최첨단 정보·통신 기술이 접목된 첨단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의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정보·통신(ICT)서비스의 주 수요 및 공급주체인 젊은 계층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접근성요인은 전반적만족도와 지속입주의향, 추천의향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요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적극적인 수요 창출을 위해서는 지식산업센터가 광역교통망의 여건이 갖춰진 지역에 입지할 수 있도록 개발계획 초기단계에서 자족시설용지의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eek better ways to promote knowledge industry centers built in the 3rd new cities and improvements of their self-sufficient function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method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s of tenant satisfaction, a continuous will to stay and recommendation intension. (3)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essibility, environment, management and parking affected satisfaction.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management, followed by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parking. Second, accessibility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 affected a will to stay in knowledge industry centers. Third, accessibility and parking affected recommendation intension. 2. RESULTS The results imply that the use of concentrated urban facilities and convenient commuting led to mobilizing workforce as accessibility served as an affecting factor.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 seems to have expanded as more different industries not limited to manufacturing companies enter the centers due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y. Also, As accessibility influenced both satisfaction and a will to stay in the centers, it seem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creating passive and active deman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39권 3호 |
|
54권 3호 |
자치발전 |
2022권 1호 |
|
6권 3호 |
도시와 빈곤 |
121권 0호 |
|
8권 3호 |
|
34권 5호 |
|
88권 0호 |
|
34권 4호 |
지역정보화 |
136권 0호 |
지역정보화 |
136권 0호 |
자치발전 |
2021권 12호 |
북한 건설·개발 동향 |
2022권 3호 |
|
13권 3호 |
자치발전 |
2021권 11호 |
도시와 빈곤 |
120권 0호 |
|
6권 2호 |
|
39권 2호 |
자치발전 |
2021권 10호 |
|
3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