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공군사관학교에서 시행하는 홍보방안은 공군사관생도 및 공군 장교들이 고등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홍보하는 방안과 기념품이나 홍보물을 전송하거나 인터넷/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간접 홍보방안이 존재한다. 하지만 코로나-19 시대의 도래로 홍보방안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직접 홍보가 어렵게 되면서, 사관학교는 홍보에 있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지속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와 입시 정책의 일부 변화로 공군 사관학교에 지원하는 인원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공사 입시경쟁률은 과거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타 대학들에서 실시하는 홍보방안과 비교했을 때 공군사관학교의 홍보방안은 정보의 양과 전달력이 부족하고, 홍보의 정체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공군사관학교는 2020년 생활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재정립하였으므로, 기존의 장교 양성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홍보방안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계층분석과정(AHP)을 사용하여 공군사관학교 홍보전략 활성화를 위한 주요 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 홍보전략 수립을 위한 측정영역과 그에 따른 측정지표를 설정하였고, 입시 관련 전문가에게 검토받았다. 특히 AHP 설문 대상을 입시 및 학교 홍보와 관련한 담당자들로 설정하여 측정지표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형성 단계별로 적용하여 향후 방향을 검토하였다.
Currently, there are promotional measures implemented by the Air Force Academy(AFA), including direct visits to promotional targets and indirect promotional measures that transmit promotional materials or provide materials online to selectively accept them.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COVID-19 era, direct promotional measures, which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motional measures, were not available, and a new phase of promotional measures was taken. In addition, the number of applicants to AFA is de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changes in entrance examination policies, which soon led to the lowest competition rate ever. In this situation, the AFA is in urgent need of finding ways to promote through a new method. Compared to the recent promotional plans implemented by other universities, the AFA's plan lacks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delivery power compared to those of other universities, and lacks the identity of publicity. Accordingly, the AFA should also present an effective and new way of promoting its PR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In addition, by redefining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2020 life curriculum, the AFA should redefine it with a new identity, not an AFA aimed only at training existing officers, and apply it to public relations measure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the selection of major values to establish a strategy on the promotion of the AFA’s PR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o this end, the measurement area and corresponding measurement indicators were set through references, and were reviewed by related experts. In particular, the target of the survey was set as experts related to recruitment and promotion of military schools, setting priorities for values, and applying them by policy formation stage to review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using only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setting measurement areas and corresponding measurement indicators, but priorities were selected through opinions from experts related to publicity and suggested new measures while enhancing future directions.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기타(사회과학)
:
:
: 반년간
: 2733-7286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12-2022
: 190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