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구조물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하며 이에 의한 구조물의 붕괴는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구조물의 균열을 감지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실시간으로 균열을 감지하는 획기적인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SHM을 위한 센서로 탄소나노튜브 고분자 복합체가 활용되며, 이는 두드러진 센싱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고분자 복합체로 smart skin을 개발하고, 구조물에 적용하여 균열 감지 센서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이 가능한 센서 개발에 있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포켓형 연결부 형태를 가지는 시스템 비계를 대상으로 연결부의 연결상태에 따른 회전강성 및 모멘트 강도의 변화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변수로 연결핀 타격 유뮤와 연결핀과 포켓의 이격 유무를 고려하였다. 일반적인 연결상태와 비교하여 망치로 타격하지 않은 연결부는 초기 회전강성, 이격된 연결부는 초기 회전강성과 모멘트 강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저자 : 김종훈 ( Kim Jong-hoon ) , 길흥배 ( Gil Heung-bae ) , 송미화 ( Song Mi-hwa ) , 안용한 ( Ahn Yong-han ) , 이상효 ( Lee Sang-hyo )
발행기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간행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6권 2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5 (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과거 1970년대부터 경재성장과 더불어 시설물의 개체수는 급증하였으며 현재 국내의 준공 30년이 지난 시설물은 전체 시설물의 16.9%을 차지하며, 2040년에는 74.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대규모로 증가하는 노후 시설물을 대상으로 국가는 기존 인력중심의 안전점검에서 스마트 안전진단 기술의 기술을 도입하고 있지만 손상을 식별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고정형 카메라 기반의 손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딥러닝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시설물의 높은 부분이나 점검하기 힘든 위치의 손상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에 접근하기 용이한 드론을 활용하여 손상정보 확인에 필요한 거리 값 도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저자 : 이태훈 ( Lee Tae-hoon ) , 길태형 ( Gil Tae-hyung ) , 정재훈 ( Jung Jae-hoon ) , 김도균 ( Kim Do-kyoun )
발행기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간행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6권 2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6-6 (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국가 주요 기반시설의 노후화 등이 급증함에 따라 정부는 기반시설 현황 및 유지관리 정보를 통합 구축·관리하여 안정적인 제도이행 체계를 마련하고자 관련 법 시행 및 다양한 업무를 실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기반시설 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재 실시 중인 기반시설의 점검진단, 보수보강 등 유지관리 이력에 관한 통합정보를 구축 및 관리하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저자 : 문세범 ( Mun Se-bum ) , 이승수 ( Lee Seung-soo ) , 홍채원 ( Hong Chae-won ) , 한동엽 ( Han Dong-yeop ) , 박승희 ( Park Seung-hee )
발행기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간행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6권 2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7 (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건설현장에서 떨어짐 등의 추락사고 및 끼임, 부딪힘 등의 장비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에서부터 발생하는 비슷한 사고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작업환경과 작업자들의 부주의로 인해 개선이 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HRS 센서의 가속도를 활용하여 작업자들의 이동궤적을 계산하고, AHRS 센서에서 출력되는 오일러 각 또는 쿼터니언을 융합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미래 경로를 확률적으로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경로를 예측함으로써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 한동엽 ( Han Dong-yeop ) , 문세범 ( Mun Se-bum ) , 홍채원 ( Hong Chae-won ) , 이승수 ( Lee Seung-soo ) , 박승희 ( Park Seung-hee )
발행기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간행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6권 2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8-8 (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2019년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전 사업장에 반도체 라인을 추가로 건설하고 있으며 매일 수만 명의 작업자가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강조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었다. 특히 반도체 라인의 작업자는 사고 발생 시 화학 물질 누출에 따른 2차 피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도체 건설 현장에도 작업자의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관리 기술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Data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작업자의 위험 행동 기인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추후 현장 적용 시 작업자의 사고 예방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 홍채원 ( Hong Chae-won ) , 이승수 ( Lee Seung-soo ) , 문세범 ( Mun Se-bum ) , 한동엽 ( Han Dong-yeop ) , 박승희 ( Park Seung-hee )
발행기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간행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6권 2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9-9 (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산업재해 사고사망 중 건설 기계·장비로 인한 사망사고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건설현장에서의 신호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신호수의 부재로 인한 안전사고 또한 다수 발생하고 있어 신호수 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건설현장에서의 신호수 배치 관련 연구가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YOLOv5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 신호수가 배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안전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작업자와 신호수 구분을 88.1%의 정확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신호수 부재로 인한 건설 중장비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저자 : 김효주 ( Kim Hyo-ju ) , 문선영 ( Mun Seon-yeong ) , 계홍찬 ( Gye Hong-chan ) , 김정우 ( Kim Jung-woo ) , 조창근 ( Cho Chang-geun )
발행기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간행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6권 2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10 (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건축물 해체공사에 있어 체계화되지 않은 프로세스와 관리감독 등으로 인해 많은 건설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최근 들어 도심지의 도시 재개발 사업 등이 활발해지며 건축물 해체 중요성이 늘어나는 추세에 부응하여 국내 해체공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흡한 해체 진행과정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건축물의 해체공사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공법을 선정하고 적절한 절차를 제안해 앞으로의 안전사고 예방과 더불어 구조안전성을 도모하고자 자체적인 해체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단계별 구조해석을 통해 해체 공사 시 해당 건축물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1960년대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전국적으로 건설된 국내 교량의 약 34% 노후화가 진행되었으며, 그중 국내 교량의 26%를 차지하는 PSC교량의 경우 현재 내부텐던 파단 문제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노후된 PSC교량 내부텐던 파단과 그라우트 손실량에 따른 긴장력 변화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실제 40년 이상 사용된 노후 PSC-I 거더의 그라우트 손실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텐던 유효 긴장력 측정 후, 강선을 인위적으로 파단시 발생하는 변형률을 측정하여 유효 긴장력을 측정해보았다. 그 결과 내부텐던의 그라우트가 전면 손실된 경우 긴장력 또한 완전손실 되었으며, 그라우트 손실이 없는 텐던의 경우 내부텐던이 파단되었지만 초기 긴장력(0.75fpu =1200MPa)의 약 11∼53%의 유효 긴장력이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내부텐던 파단의 손실보다 그라우트의 손실이 긴장력 손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건축물의 노후화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30년 이상 경과한 건축물은 전체 동수의 1/3 이상을 차지하나 기존건축물에 대한 정책·기술은 현저히 부족하여 대형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건축물 조사·점검 체계를 원격·무인화하고, 취약건축물의 선별 및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통해 사전 예측·예방 관리체계로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 도면에서 건축물 안전정보를 선별 인식ㆍ추출 및 디지털 변환하는 기술, 드론·영상장치 등을 이용한 원격ㆍ자동화 정보조사 및 점검하는 기술, 지자체 연계 광역단위의 디지털 안전정보 구축· 통합관리 서비스 기술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