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조광익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간행물 :
관광학연구
46권 8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10 (6 pages)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저자 : 김태린 ( Kim Taely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간행물 :
관광학연구
46권 8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5-30 (1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관광 분야에서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나, 많은 질적연구 사례에서 연구 패러다임 적용 등의 오류가 범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관광 분야 질적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패러다임을 설명하고, 특히 질적연구방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근거이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접근하는 태도이자 단계로서 연구 패러다임과 연구방법, 자료원 등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후 연구 패러다임의 유형으로 실증주의, 후기실증주의, 비판이론, 구성주의 각각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방법론적 가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근거이론의 개념과 진화 과정을 설명하고, 전통적 근거이론, 진화된 근거이론,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등 각 근거이론의 유형별 연구 패러다임, 연구방법, 연구 사례, 비판과 신뢰도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광 분야 질적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 대한 비판과 논의를 통해 향후 관광 분야 질적연구에 대한 고찰과 발전이 지속될 수 있기를 바란다.
Although the number of qualit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tourism has increased, errors in applying th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y are still common.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ie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commonly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s various research paradigms, such as positivism, post-positivism, critical theory, and constructivism, as well as their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assumptions. The concept of grounded theory and its evolution are discussed. Furthermore, the research paradigm, research method, research cases, as well as criticisms and credibility for various types of grounded theory, are discussed. Finally, recommendations for encouraging appropriate qualitative research are provid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park lively debates about th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ies of qualitative studies in tourism.
저자 : 이경여 ( Lee Kyung-yur ) , 이훈 ( Lee Hoo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간행물 :
관광학연구
46권 8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1-54 (2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한국의 학벌주의 문화와 과열된 교육 관련 연구는 상당수 진행되고 있는 반면 사교육의 핵심 수요자인 대입 수험생 엄마의 여가 경험을 조명하는 연구는 전무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녀 대학 입학 준비 시기 동안 사교육에 적극적이었던 대입 수험생 엄마의 여가제약과 여가 활동 경험(참여, 배제)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탈 고3 엄마에게 자녀 대학 입시 기간 중의 여가제약과 경험에 대해 2022년 4월부터 10월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 기법을 활용하여 총 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입 수험생 엄마의 여가 경험은 30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인과 조건은 '고3 엄마라는 과중한 역할 부담', 중심 현상은 '적극적 여가 활동 위축', '종교 여가 활동 증대', 맥락 조건은 '일-여가-자녀 시간 안배 어려움', 중재 조건은 '자본의 활용', '우선순위 설정',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행동적·인지적 협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여가 활동 참여', '여가 활동 배제', '여가 활동 중립'으로 도출되었다. 선택 코딩 결과 핵심 범주로 분석된 '자녀 사교육에 적극적인 한국 대입 수험생 엄마의 여가 활동 의미 찾기'는 3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구체적으로 워라밸형, 전통형, 중립형으로 유목화되었고 각 유형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특징과 근거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자녀 사교육에 적극적인 한국 엄마가 대입 수험생 자녀의 입시 과정을 거치는 동안 여가제약과 경험을 분석한 초기 연구라는 이론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결과를 토대로 수험생 유자녀 중년 여성의 여가정책과 인력 활용 고용정책을 수립하는데 적용이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과 상담 치료 및 취업 재교육 관련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While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academic elitism in Korea and excessive education fever, none have examined the leisure experiences of moth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ir children's shadow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better understand those mothers' leisure experiences. From April to October 2022,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leisure experiences of mothers living in Korea.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leisure experiences of mothers who dedicated themselves to their children's shadow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were derived from 30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and a paradigm model was presented as a result. The developed model was named 'Finding the meaning of leisure activities for Korean moth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ir children's shadow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 and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ork-life balanced type,' 'conventional type,' and 'in-between type.'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stem from the study's originality in analyzing the leisure experiences of Korean mothers during their children's university entrance exam period. Furthermore,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leisure policies and employment policies utilizing human resources of middle-aged women with highschoolers,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treatment and job retraining, were proposed.
저자 : 이혜린 ( Lee Hye Ri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간행물 :
관광학연구
46권 8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5-76 (2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은 관광산업 뿐 아니라 시니어 여행자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은퇴 후 적극적으로 여행을 계획했던 시니어들에게 팬데믹은 새로운 제약요인이 되었고, 여가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켰다.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시니어 여행자들의 여행제약과 협상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니어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였으며,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51개의 개념과 18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 현상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여행제약 인식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제약을 협상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여행 지속하기, 기존 여가 몰입하기, 새로운 여가 도전하기 등이 도출되었다. 팬데믹에 의한 여행제약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들은 결과적으로는 일상을 재발견하고 감사하는 계기를 갖는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고, 여가 라이프스타일의 추구 경로가 여행 회귀성, 여가 회귀성, 여가 다양성 등으로 구분되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고, 핵심범주로 '코로나19 시기 여행제약 협상을 통해 한 단계 발전된 여가 향유적 삶으로 나아가기'를 도출하였다. 코로나19 시기의 시니어 여행제약 협상 과정은 코로나 여행제약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 다양한 협상 전략을 수행함으로써 코로나19 이전과는 또 다른 모습의 여가 향유적 삶으로 발전해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팬데믹이라는 새로운 현상 속에서 시니어 여행자의 제약 협상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에서 발견한 협상 전략, 협상 영향요인, 유형 구분은 시니어 여가·관광 정책과 실무에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The 2020 coronavirus pandemic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as the lives of senior travelers. The pandemic imposed a new constraint on seniors who actively planned to travel after retirement, altering their leisure lifestyl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lve deeply into the travel constraints and negotiation process of senior travelers during the corona pandemic.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goal, in-depth interviews with 9 senior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analysis produced a total of 51 concepts, 18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During the corona pandemic,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recognition of travel constraints,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cluded continuing to travel, engaging in existing leisure activities, and trying new leisure activ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were restricted from traveling due to the pandemic experienced a positive shift in perception, allowing them to rediscover and appreciate their daily lives, and the path to pursue a leisure lifestyle was divided into travel regression, leisure regression, and leisure diversity. Based on this, a paradigm model was presented, and the core category'moving to a more advanced leisure life through negotiation of travel constrai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derived. This study is theoret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thoroughly examined the senior traveler's constraint negotiation process and presented a model for the new phenomenon of a pandemic. Furthermore, the research findings on negotiation strategy, negotiation influencing factors, and type classificatio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enior leisure and tourism policies and practices.
저자 : 윤혜진 ( Yoon Hyejin ) , 김철원 ( Kim Chulwo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간행물 :
관광학연구
46권 8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7-104 (28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이 연구는 장애인의 관광 연구와 경험에서 더욱 소외되고 있는 '시각장애인의 관광'에 천착하여 관광을 향유하는 주요 감각 기관인 시각 기능을 상실한 장애인들이 과연 관광에 대한 욕구를 가지는지, 관광을 어떻게 바라보고 향유하는지, 관광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구조화하고 본질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van Manen의 4가지 실존체(신체성, 공간성, 관계성, 시간성)를 성찰의 길잡이로 하여 참여자의 개별 심층인터뷰와 연구자의 참여관찰, 문헌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최종 23개의 주제(theme)와 10개의 본질적 주제(essential theme)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눈이 보이지 않아도 시각장애인은 후각, 촉각, 청각 등 또 다른 신체 감각 기관을 통해 그 장소와 대상을 이미지화하며 관광경험을 구성해 나갔으며, 관광은 시각장애인에게 삶의 반경을 확장하며 새로워진 자신과 세상을 만나게 하는 통로가 되는 매우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하지만 선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가질수록, 전맹일수록 여행의 문턱이 더 높다고 인식하였으며, 그 문턱을 넘어서기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단 여행을 경험하게 되면, 시각장애인은 그 누구보다 여행에 대한 만족감과 가치, 긍정적 효과를 누리면서 세상 속에서 보다 자립적이고 행복한 삶을 누리며, 또 다른 여행을 계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그동안 관광학 연구에서 배제되어 왔던 시각장애인의 관광 경험에 대한 학문적 의의와 모두를 위한 관광의 기본권, 관광 정의 실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tourism experience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hich is further marginalized from tourism research in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have a need and want, as well as how to enjoy travel.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e and comprehension of the meaning of their travel experiences. Individual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 literature review were used to generate the final 23 themes and ten essential themes, which were based on van Manen's four existential themes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relation, and lived time). Despite the fact that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re invisible, they have formed a tourism experience by imaging the place and object through other body sensory organs such as smell, touch, and hearing, and tourism has become a very important link for the blind to expand their radius of life and meet their new self and world. Tourism is essential in broadening their life radius and space, as well as providing a path to meet a new self and the worl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congenital visual impairment perceived the threshold of travel more strongly than acquired visual impairment. They can, however, perceive travel satisfaction, value, and positive effects more than anyone else, increasing self-independence and well-be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presented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tourism experience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ourism research, as well as the fundamental rights of tourism for all and the implications for achieving tourism justice.
저자 : 이한아름 ( Lee Han-ah-reum ) , 성은혜 ( Sung Eun-hye ) , 배소영 ( Bae So Young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간행물 :
관광학연구
46권 8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5-129 (2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표는 진지한 여가의 관점에서 중장년 여성의 트로트 팬덤참여가 지니는 내재적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는 것이다. 트로트 팬덤이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수행했으며, 트로트 팬덤 중 규모와 영향력이 가장 큰 '영웅시대' 회원 14명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질적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주제별 분석법을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트로트 팬덤참여를 통해 진지한 여가의 6가지 속성인 인내, 개인적 노력, 여가 경력, 지속가능한 편익, 독특한 기풍, 동일시를 경험했고, 이는 다시 개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진지한 여가로서의 팬덤참여는 연구참여자들에게 나도 무언가를 해낼 수 있다는 자부심과 뿌듯함을 안겨주었으며, 이는 주류문화의 변방에 있던 중장년 여성들이 사회문화적으로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팬덤의 일원으로 사랑하는 스타에게 응원과 지지를 보내며, 사랑을 주는 것에 익숙했던 엄마의 역할을 되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트로트 팬덤은 대안적 사회 공동체로서 연구참여자들에게 소속감을 제공하고, 스타에 대한 개인적 감정을 온전히 이해받을 수 있는 교류의 장으로 역할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여가의 측면에서 사회가 주목하는 대중문화현상에 대한 시의성 있는 이해를 제공했으며, 관광 및 대중문화 관련 업계에서 트로트 팬덤을 경쟁력 있는 시장으로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했다.
From the perspective of serious leis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rinsic meaning and role of middle-aged women's trot fandom participation.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14 members of Young-Woong Lim's fandom, 'Hero Generation,'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new cultural phenomen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nd thematic analysis, study participants gained multiple positive experiences based on the six characteristics of serious leisure experienced through fandom participation: perseverance, significant personal effort, leisure career, durable benefit, unique ethos, and identification. As a serious leisure activity, fandom participation provided a sense of pride and empowered middle-aged women to speak out in society. Participants also had someone to whom they could express their passion and love, and they happily reclaimed their identity as mothers. Finally, the trot fandom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alternative social community among middle-aged women, allowing them to fully understand and share their affection for stars while also providing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hrough the lens of leisure, this study provides a timely understanding of the emerging fandom culture. It also justifies the importance of the trot fandom in the travel and pop culture industries.
저자 : 한관희 ( Han Gwan-hui ) , 이계희 ( Lee Gye-hee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간행물 :
관광학연구
46권 8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31-151 (2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갈수록 치열해지는 관광시장에서 관광자들에게 오랜 기간 기억되는 경험을 만들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시각적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잘트만의 은유추출기법(ZMET)을 적용하여 오랜 기간 관광자 내면에 기억되는 관광경험의 요체를 알아보고 관광자 집단이 공통으로 공유하는 보편적 사고구조를 공유개념도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ZMET은 대부분 인간의 의사소통은 비언어적이고, 사고의 근본적인 요소는 은유로 언어보다는 이미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전제한다. 이 연구에서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경험적 사고와 감정, 생각, 동기 등을 파악하고 표면화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론인 ZMET을 활용하여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에 따른 구성개념 및 하위 구성요소들과의 연계성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여행객들이 추구하는 공통 가치와 최종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유개념도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관광자 집단이 공통적으로 인식한 개념은 1) 자기성찰과 자기발견 2) 신기성과 이질성 3) 현지인과의 교제 4) 가족유대 및 동행과의 교제 5) 자연경관 6) 우연성 7) 현지문화 체험 8) 탈일상성 9) 힐링 10) 새로운 지식과 배움으로 이것들이 MTE를 구성하는 중요 가치임을 확인해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자들이 공동으로 공유하는 합의 지도인 공유개념도를 도출해냄으로써 관광학 분야의 학문적 저변을 확대하고 이를 토대로 관광콘텐츠 및 관광상품의 기획·개발 등 마케팅 전략 및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tourism market, creating long-lasting tourism experiences is critical. In this study, we use Zaltman's Metaphor Extraction Technique (ZMET), one of the vi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iscover the essence of tourist experiences that tourists have long remembered and to find the universal thought structure shared by tourist groups as a shared conceptual diagram. ZMET believes that most human communication is nonverbal, and that figurative thinking is primarily expressed through images rather than language. In this study, ZMET,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identifying and surfacing invisible empirical thoughts, emotions, thoughts, and motive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concepts and sub-components based on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and to determine the common value and final purpose of tourists. As a result, the concept commonly recognized by the tourist group was 1) Self examination and Self-finding 2) Novelty and Heterogeneity 3) Interaction with locals 4) Interaction with companion 5) Natural scenery 6) Serendipity 7) Locality 8) Escape from daily life 9) Healing 10) New knowledge and lear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broaden the academic base of the tourism field by developing a shared concept map shared by tourists and using it as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and efficient decision-making, such as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and products.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