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Youth Employment and the Process of Change According to the Times: Focusing on Randomforest Analysis from 1998 to 2020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머신러닝의 랜덤포레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1998년부터 2020년까지 연도별 청년취업을 예측하는 데 예측력이 큰 요인들을 밝히고, 그 요인들의 시대에 따른 변화과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998년(1차연도)부터 2020년(23차연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모형에는 ‘개인특성’, ‘사회적 배경’, ‘교육 관련’, ‘만족도’, ‘기타’ 요인으로 구성된 총 47개 변수가 투입되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변수중요도 분석, 연도별·변수별 중요 예측변수의 빈도 분석, 주요 변수별 변화과정 분석 등을 통해 시장신호와 선별이론(Market Signaling and Screening Theory), 통계적 차별이론(Statistical Discrimination Theory) 등 노동시장과 관련된 기존의 이론들에 연구결과가 부합함을 확인하였고, ‘학력(학교)’, ‘직업훈련경험’, ‘혼인상태’, ‘사회경제적지위’ 등과 같이 꾸준히 중요도 상위 변수로 나타난 변수를 밝혔다. 둘째, 연도별 중요도 변수 및 패턴 변화를 통해 시대적 배경의 이해 수준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2020연도 청년 고용률 저하는 코로나-19의 상황적·환경적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변수의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나거나 ‘사회경제적지위향상 가능’, ‘생활만족도’ 등과 같은 새로운 변수가 예측요인으로 제시되어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
The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with high predictive power in youth employment for each year and the changes in major factors according to the times through machine learning random forest analysis using data from 1998(1st year) to 2020(23rd year)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labor market were verified, and variables such as 'education level(school),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marriage status' were consistently appeared as top variables in the importance analysis . In addition, the study enhanc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rough changes in importance variables and patterns by year.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line in the youth employment rate in 2020 was a situ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 for COVID-19. Finally, the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variable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presented new variables such as ‘possibility of improving socioeconomic status’, which enabled to expand the research horizon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해양한국 |
2023권 2호 |
|
28권 4호 |
|
14권 2호 |
|
29권 2호 |
협상연구 |
25권 2호 |
TIP(TAX ISSUE PAPER) |
87권 0호 |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2020권 1호 |
|
36권 4호 |
|
29권 4호 |
|
24권 4호 |
|
24권 4호 |
|
25권 4호 |
|
80권 0호 |
|
27권 4호 |
저널 물 정책·경제 |
38권 0호 |
|
36권 4호 |
재정포럼 |
318권 0호 |
충남경제 |
2022권 12호 |
열린충남 |
99권 0호 |
한국경제주평 |
94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