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검색어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
논문 상세보기
홈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역사신학 논총>“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 헤르만 바빙크의 영혼불멸론에 대한 앤써니 후크마의 평가 재고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 헤르만 바빙크의 영혼불멸론에 대한 앤써니 후크마의 평가 재고
“Apparently Conflicting Reactions from Reformed Theologians” : A Reconsideration of Anthony A. Hoekema’s Evaluation of Herman Bavinck’s Thought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후크마(Anthony A. Hoekema)가 평가하는 영혼불멸론에 관한 개혁신학자들의 견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칼빈을 비롯한 개혁주의 전통의 신학자들과 바빙크 및 벌카우어와 같은 신학자들 사이에 “명백히 상충되는 견해들”이 있다고 강조하는 점이 그러하다. 후크마에 의하면, 칼빈이나 벌코프와 같은 개혁신학자들이 영혼불멸론을 성경이 말하는 바와 일치한다고 보는 반면, 바빙크는 훨씬 더 신중한 접근을 취하여 둘 사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본다는 것이다. 또한, 후크마는 바빙크가 영혼 불멸 교리를 성경적 근거보다는 철학적 사유에 기초한 혼합조항(articulus mixtus)으로 제시한다고 주장하여 바빙크가 영혼 불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것처럼 묘사한다. 본고는 이러한 후크마의 주장에 대해 인용된 바빙크의 글의 문맥들과, 영혼불멸론에 관한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증거들, 그리고 혼합조항에 관한 바빙크의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후크마의 주장의 타당성을 재고하려는 시도이다. 먼저, 바빙크가 영혼불멸론에 대한 성경적 근거가 부족한 것을 언급하는 것은 사실이나, 동시에 그는 여러 곳에서 영혼의 불멸을 인정할 수 있는 성경적 근거가 충분하다고 밝힌다. 더불어, 자연계시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영혼불멸론 역시 역사적, 이성적, 철학적 증거들이 그 자체로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근거(ground)는 아니더라도 증거(witness)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혼합조항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바빙크는 여러 곳에서 이 조항 자체가 특별계시와 일반계시 혹은 각 계시에 근거한 신학과 철학 모두의 지지를 받는 것이지, 성경적 근거 없이 철학적으로만 주장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이 점은 후크마의 주장과 달리 영혼불멸론에 대한 바빙크의 견해가 칼빈이나 벌코프를 비롯한 여러 개혁신학자들의 견해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들 모두 철학과 이성을 이용한 자연계시에서 얻는 지식으로서의 영혼불멸론이 성경이 말하는 것과 상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결국,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를 언급하는 후크마의 주장은 수정되어야한다.
Anthony A. Hoekema’s reading of the Reformed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s problematic. He claims that there are “apparently conflicting reactions from Reformed theologians” on this issue. According to his argument, prominent Reformed thinkers such as John Calvin, A. A. Hodge, Louis Berkhof, and William G. T. Shedd accepted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consistent with the biblical understanding. In Hoekema’s summary, however, Herman Bavinck claims that the doctrine of the soul’s immortality is not compatible with the biblical view because the scripture barely mentions it and its main interest is not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ut the resurrection of the human body. Moreover, for Hoekema, Bavinck suggests this doctrine as a mixed article of faith (articulus mixtus), “the truth of which is demonstrated more by reason than by revelation.” Based on these reasons, Hoekema concludes that Bavinck does not take the doctrine as a biblically trustworthy doctrine. However, this argumentation needs reconsideration seriously in some points. First of all, Bavinck never rejects this doctrine in his biblical discussions. Although he admits that the scripture does not say much about this doctrine, he clarifies that we can find biblical sources enough to recognize this doctrine as biblical. Secondly, Bavinck also accepts this doctrine based on the validity of philosophical reasoning derived from natural revelation. For Bavinck, historical, reasonable, and philosophical reasons can be “witnesses or indications” rather than proof to support this doctrine. Finally, this is evident in his usage of the term articulus mixtus. Unlike Hoekema’s negative comment on the term and his intention to antithetical aspects between biblical reasoning and philosophical reasoning, Bavinck himself uses the term in his Reformed Dogmatics positively with out disregarding the superiority of the scriptures over philosophical reasons.
UCI(KEPA)
간행물정보
: 인문과학분야 > 종교학
: KCI등재
:
: 반년간
: 1229-7593
: 2671-5783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9-2022
: 373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