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다은 ( Daeun Kim ) , 이성임 ( Sungim Lee ) , 임요한 ( Johan Lim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35-346 (1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통계적 공정관리에서 프로파일 관리도란 다수의 품질 특성치 간 함수관계의 변화를 탐지하는 것을 말한다. 두 변수 간 선형의 관계가 있는 경우, 선형 프로파일을 가정하고 절편과 기울기가 일정한지 모니터링한다. 이때 선형 프로파일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모든 프로파일에서 설명변수의 관측치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프로파일마다 설명변수의 값이 랜덤하게 관측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 선형 프로파일 모니터링에서 설명변수가 프로파일마다 랜덤하게 관측된다는 가정하에 기존의 방법을 확장 적용하고자 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탐지 성능을 확인하고 네트워크 침입 탐지 알고리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NSL-KDD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침입 탐지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저자 : 이효령 ( Hyo Ryoung Lee ) , 황선영 ( Sun Young Hwang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47-356 (1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금융 시계열 비대칭 변동성을 모형화하기 위해서 다중 임계점을 가진 비대칭-ARCH 점화식(A-ARCH(1))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임계점이 두 개인 간단한 모형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 S\&P500 자료 분석을 통해 예시하였다. 다양한 A-ARCH(1) 모형의 예측력 비교를 위해 모수적-붓스트랩을 활용하여 예측오차의 평가 및 예측구간의 정확도를 설명하였다.
저자 : 김정환 ( Jeonghwan Kim ) , 장민아 ( Mina Jang ) , 조형준 ( Hyungjun Cho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57-370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Tobit 모형과 Heckit 모형을 소개한다. 이러한 모형은 절단된 자료의 분석에 사용되는데, 이때 절단된 자료란 연속형 자료가 아닌 특정 지점에서 절단이 발생하게 되거나 일정한 지점에서 개체가 양의 확률로 개체의 다수가 분포, 다른 영역에서는 연속형의 형태로 분포하는 자료를 의미한다. 이때 절단된 형태의 자료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을 적합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교정하고자 Tobit 및 Heckit 모형을 사용하나, 두 모형의 차이점이 명확하게 고려되지 않고 종종 혼용된 채 사용되었다. 따라서 여기서는 절단된 자료의 형태를 가정별로 세분화하여 모의자료를 통해 먼저 모형의 적합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을 적합하였다. 그 결과 절단 여부에 영향을 주는 잠재변수가 없는 경우 Tobit 및 Heckit 모형 모두 잘 적합되나 Tobit 모형이 간소하면서도 참값에 더 근접하게 적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절단 여부에 영향을 주는 잠재변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Heckit 모형만 적합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자 : 유동현 ( Donghyeon Yu ) , 임요한 ( Johan Lim ) , 손원 ( Won Son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71-384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구간별 상수 구조를 가지는 관측값으로부터 변화점을 식별하기 위해 FLSA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FLSA는 총변동벌점을 이용하기 때문에 평균 수준이 단조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변화점 식별에서의 일치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ℓ1 추세필터는 오차제곱합과 기울기 차이에 대한 ℓ1 벌점의 합을 목적함수로 가지는 구간별 선형 구조 추정방법으로 구간별 선형 구조에서의 변화점을 식별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한편 ℓ1 추세필터의 경우에도 총변동벌점을 이용하므로 FLSA와 마찬가지로 변화점 식별에 있어서 비일치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구간별 선형 모형에서 변화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ℓ1 추세필터의 비일치성에 대해 살펴본다. 또 구간별 선형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에서 변화점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관측값에 ℓ1 추세필터를 적용하는 것보다 관측값을 차분하여 FLSA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들이 있음을 확인해본다.
저자 : 이선홍 ( Seonhong Lee ) , 성병찬 ( Byeongchan Seong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85-393 (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예측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단변량 시계열 모형들을 이용하여, 그들의 단순 조합이 어떤 예측력을 보여주는지 연구한다. 고려된 단변량 시계열 모형으로는, 지수평활 및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들과 그들의 확장된 형태인 모형들 그리고 예측의 벤치마크 모형으로 자주 사용되는 비계절 및 계절 랜덤워크 모형이다. 단순 조합의 방법은 중앙값과 평균을 이용하였으며, 검증을 위하여 사용된 데이터셋은 3,003개의 시계열 자료로 구성된 M3-competition 자료이다. 예측 성능을 sMAPE(symmetric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와 MASE(mean absolute scaled error)로 평가한 결과, 단변량 시계열 모형들의 단순 조합이 아주 우수한 예측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자 : 김경희 ( Kyunghee Kim ) , 유승연 ( Seungyeon Yu ) , 백창룡 ( Changryong Baek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95-406 (1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장기 종속 다변량 시계열 자료에 대한 이상점 탐지 기법을 연구한다. 기존 다변량 시계열 이상점 탐지 방법은 단기 종속 시계열 모형인 VARMA에 기반한 방법으로, 장기억성을 띈 다변량 시계열 자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자기회귀 모형을 통해서 장기 종속성, 즉 장기억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높은 차수의 모형이 필요하고, 이는 곧 추정의 불안성으로 이어지기에 장기억성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VHAR 구조에 기반한 이상점 탐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더욱 정확한 추론을 위해서 로버스트한 방법을 이용하여 VHAR 계수를 추정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이상점을 탐지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우리가 제안한 방법론이 기존 VARMA에 기반한 방법론보다 이상점 탐지에 더 효과적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주가지수에 대한 실증자료 분석에서도 기존의 방법론은 탐지하지 못하는 추가 이상점을 찾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 : 정주원 ( Joowon Jeong ) , 정윤서 ( Yoonsuh Jung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07-419 (1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반도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길어 결함이 발생될 때 빠른 탐지와 조치가 이뤄져야 결함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테스트 공정을 거쳐 구성된 웨이퍼 빈 맵(WBM)의 체계적인 패턴을 탐지하고 분류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을 유추할 수 있다. 이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대량의 웨이퍼를 단 시간에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웨이퍼 빈 맵의 정상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계층적 군집 분석을 활용한 새로운 결함 패턴 탐지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하는 방법은 여러 장점이 있다. 군집의 수를 알 필요가 없으며 군집분석의 조율 모수가 적고 직관적이다. 동일한 크기의 웨이퍼와 다이(die)에서는 동일한 조율 모수를 가지므로 대량의 웨이퍼도 빠르게 결함을 탐지할 수 있다. 소량의 결함 데이터만 있어도 그리고 데이터의 결함 비율을 가정하지 않더라도 기계학습 모형을 훈련할 수 있다. 제조 특성상 결함 데이터는 구하기 어렵고 결함의 비율이 수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또한 신규 패턴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탐지한다. 대만 반도체 기업에서 공개한 실제 웨이퍼 빈 맵 데이터(WM-811K)로 실험하였다. 계층적 군집 분석을 이용한 결함 패턴 탐지는 불량의 재현율이 96.31\%로 기존의 공간 필터(spatial filter)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결함 분류는 혼합 유형에 장점이 있는 계층적 군집 분석을 그대로 사용한다. 직선형과 곡선형의 긁힘(scratch) 결함의 특징에 각각 주성분 분석의 고유값과 2차 다항식의 결정계수를 이용하고 랜덤 포레스트 분류기를 이용한다.
저자 : 장대흥 ( Dae-heung Jang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21-434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hatterjee (2021)는 새로운 상관계수 ξ 를 제안하였다. 두 가지 질문 (1. Anscombe's quartet 데이터셋에 대하여 ξ 계수는 구별이 가능한가?, 2. 다양한 종류의 산점도에서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 ξ 계수 값의 변화는 어떠한가?)을 중심으로 ξ 계수에 대한 탐색적자료분석을 시도하였다. 세 가지 측도 (ξ 계수, 피어슨상관계수, 상호정보)를 서로 비교하였다.
저자 : 여인권 ( In-kwon Yeo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35-443 (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한 코로나 진단검사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신속진단키트의 민감도 및 특이도에 따른 확진 비율과 신속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을 때 실제로는 확진이었을 확률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양성 반응 중 실제 확진의 확률을 알 때 민감도와 특이도 간의 관계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질병관리청의 자료에 따른 신속진단키트의 실제 민감도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 본다.
저자 : 장인송 ( Insong Jang ) , 이경재 ( Kyoungjae Lee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45-455 (1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희소 회귀분석을 위한 기존의 베이지안 방법들을 소개하고, 다양한 모의실험 세팅에서 성능을 비교한다. 특히, 확장 가능하고 정확한 베이지안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변분 베이즈 방법(variational Bayes method) (Ray와 Szabó, 2021)에 중점을 둔다. 시뮬레이션 자료를 기반으로 한 희소 고차원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변분 베이즈 방법의 성능을 다른 베이지안 및 빈도론 방법들과 비교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변분 베이즈 방법의 실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백혈병 유전자 발현 자료를 사용하여 실자료 분석을 수행한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