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jor Issues Concerning Fairness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Ⅰ. 들어가며 Ⅱ. 공정성의 개념과 원칙 Ⅲ. 사건의 개요 Ⅳ. 판례를 통한 대학입학사정에서의 공정성 관련 쟁점 논의 Ⅴ. 나가며
이 글은 공정성의 의미와 원칙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토대로 대학입학사정에 관한 두 개의 판례를 검토하여 대학입학사정에서의 공정성의 의미와 쟁점을 살펴보고 공정성 강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론적 논의와 판례 검토를 통해 대학입학사정에서는 전형요소 구성의 공정성, 전형에의 기회와 결과 분배의 공정성, 전형요소 및 전형방법에 대한 정보공개의 공정성 등이 쟁점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형요소 및 절차에 대한 일관성과 타당성 강화, 지원자에 대한 차등적인 평가기준 적용, 다양한 집단의 의견 반영, 입학사정 업무의 전문성 강화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reviewed two precedents o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proposed some ways to strengthen the fairness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ong wit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we examined some critical issues such as fairness in the composition of examination factors, fairness in distribution of opportunities, and fairness in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examination factors and methods. We also suggested the following ways to improve fairness in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maintaining consistenc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applying differential evaluation standards to applicants, reflecting opinions from various groups, and strengthening expertise in admission assessment work were suggested as improvement metho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30권 3호 |
|
24권 2호 |
|
46권 2호 |
|
32권 3호 |
|
79권 0호 |
|
9권 1호 |
BFL |
108권 0호 |
|
28권 2호 |
|
70권 0호 |
|
35권 1호 |
|
34권 1호 |
|
45권 0호 |
|
63권 2호 |
|
20권 2호 |
|
35권 2호 |
|
30권 1호 |
|
26권 4호 |
|
8권 2호 |
|
39권 2호 |
|
22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