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Analysis of CS Instructor Using the DACUM Metho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분석을 통해 CS강사가 수행하게 되는 책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고, 작업별 작업요소와 지식·기술·태도를 도출하여 초임 CS강사에게 직무의 방향을 제시하고, CS강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과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CS강사로써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현업전문가를 중심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책무와 작업, 작업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내용은 관련 학위를 소지하고 CS교육 현장에서 관리자급으로 15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4명의 전문가그룹에 의해 검증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강사의 직무는 6개의 책무, 26개의 작업, 111개의 작업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책무는 ‘A 고객만족도 조사’, ‘B 직원 서비스 모니터링’, ‘C CS교육 계획 수립’, ‘D CS교육 개발 및 진행’, ‘E CS교육 사후관리’, ‘F CS교육 홍보마케팅’이며, 각각의 책무마다 3∼5개의 작업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26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작업에 대한 지식·기술·태도를 도출하였다. 6개의 책무 중 ‘B 직원 서비스 모니터링’과 ‘D CS교육 개발 및 진행’에서 가장 많은 작업과 작업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기술·태도의 양이 상당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uty and task performed by CS instructors through job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job to the first CS instructor,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to foster CS instructors. For the above research, DACUM workshops were conducted centering on field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CS instructors to derive responsibilities, tasks, and work factors. The conten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were verified by a group of four experts with a related degree and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t the manager level in the CS education fiel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of a CS instructor was derived from 6 responsibilities, 26 tasks, and 111 working elements. The derived responsibilities are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B employee service monitoring', 'C CS education plan establishment', 'D CS education development and progress', 'E CS education follow-up management', and 'F CS education promotion marketing', and each responsibility includes 3 to 5 tasks. Secon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each task were derived to perform 26 tasks. Among the six responsibilities, the most work and work elements were derived from 'Monitoring B Employee Service' and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CS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perform them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80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2권 13호 |
|
29권 7호 |
|
4권 4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2권 9호 |
|
46권 2호 |
|
134권 0호 |
|
23권 1호 |
|
30권 1호 |
|
29권 6호 |
|
59권 0호 |
|
28권 2호 |
|
25권 2호 |
|
54권 2호 |
|
16권 1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3권 1호 |
|
53권 1호 |
|
20권 1호 |
|
40권 0호 |
서비스HRD |
1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