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ter Life and Works(1934-1952) of Klaas Schilder, Dutch Reformed Theologian
10.17156/BT.102.03
Ⅰ. 들어가는 말 Ⅱ. 깜쁜신학교 교의학 교수로서 스킬더의 활동(1934-1944) Ⅲ. 해방파 교단의 지도자와 브루더벡 깜쁜 신학교 교수로서 스킬더의 활동(1945-1952)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끌라스 스킬더(Klaas Schilder, 1890-1952)는 카이퍼와 바빙크 사후 화란 개혁교회를 주도한 주요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이다. 신학교 교수, 저널 편집인, 설교자와 강연자, 저술가 등으로 많은 업적으로 남겼지만, 한국 내에서는 그에 대한 소개가 부족하고, 학문적인 논의도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현황에서 스킬더의 생애와 주요 저술에 대한 소개를 진행하고 있는데, 초기 스킬더(1890-1933)에 대해서는 이미 공표했다. 이제 본고에서는 후기 스킬더의 생애와 주요 저술에 대해 논의를 했다. 이러한 논구는 보다 더 깊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이라는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II에서는 깜쁜 신학교 교수로서 활동했던 1934년부터 1944년까지의 시기를 논구해 보았다. 그는 신학교 교수로서, 「개혁」지의 편집과 주필로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화란 개혁교회 목회자들과 교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시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활동은 H. 카이퍼와 V. 헤프 같은 카이퍼리안들과의 갈등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러한 갈등은 1940년 독일 침공과 화란 점령 기간 동안에 더욱더 극단으로 치달아서 마침내는 스킬더의 정직과 면직에 이르게 되고, 그 여파로 해방파 또는 31조파 교회라고 하는 새로운 교단이 생겨나게 되었다. III에서 우리는 새로이 출범한 해방파(혹은 31조파) 교단의 지도자와 브루더벡 깜쁜 신학교 교수로서 스킬더의 활동과 주요 저술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이 시기는 1945년부터 시작해서 1952년 갑작스러이 소천할 때까지의 비교적 짧은 기간이다. 스킬더는 새로 설립된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교단 내 문제점들을 풀어나가야 하는 과제를 수행했고, 신학교 강의와 1940년에 폐간당했던 「개혁」지의 재발행과 편집 책임을 다시 맡아 많은 글을 공표하기도 했다. 이 후기에 스킬더는 『그리스도와 문화』(1948),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해설 1-4』(1947-1953), 그리고 『수난당하시는 그리스도 1-3』 2판 수정증보판(1949-1952) 등을 출간하기도 했다. 스킬더는 독창적이고 풍성한 개혁신학의 유산을 우리에게 남겨주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그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소망한다. 특히 학술적인 전기가 출간되어야 하고, 그의 주요 신학적인 기여들(언약, 교회, 종말론, 역사관, 문화관, 신론, 변증법적 신학 비판)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laas Schilder (1890-1952) was one of the leading theologian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after the death of Kuyper and Bavinck. Although he left many achievements as a Seminary professor, journal editor, preacher, lecturer, and prolific writer, he has not yet been introduced much in Korea, and academic discussion about him has not been activated yet. In this context, I am introducing Schilder’s life and major writings, and the paper dealing with the early Schilder (1890-1933) has already been published. Now,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life and major writings of later Schilder(1934-1952). I think that this introduction paper has significance as a basic work for more in-depth research of him. In section 2, I examined the period from 1934 to 1944, when he was active as a professor at Kampen Theological School. He was active as a seminary professor and editor of a weekly named De Reformatie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pastors and member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However, such activities have also sparked conflicts and disputes with Kuyperians such as H. Kuyper and V. Hep. These conflicts became more and more extreme during the period of the German occupation of Holland, eventually leading to the suspension and dismissal of Schilder, and in the aftermath, a new denomination called the Vrijgemaakte (Liberated) was born. In section 3, I examined Schilder’s activities and major writings as a leader of the newly launched Vrijgemaakte Churches (or Maintaining 31 st article) and a professor at Bruderweg Kampen Seminary. This period is relatively short, from 1945 to his sudden death in 1952. Schilder ha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new denomination, to solve problems raised within the denomination, and published many articles in De Reformtie Journal along with lectures at seminaries. Moreover, in this period, Schilder published Christ and Culture (1948), Commentary on the Heidelberg Catechism 1-4 (1947- 1953), and the second edition of Christ in his Suffering 1-3 (1949-1952). Since Schilder has left us with an original and rich legacy of Reformed theology, we hope that research on it will be activated. In particular, an academic biography should be published, and in-depth research work is needed on his major theological contributions (covenant, church, eschatology, view of history, view of culture, theology proper, criticism on dialectical theology).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교육교회 |
514권 0호 |
|
52권 0호 |
|
30권 2호 |
신학과 선교 |
62권 0호 |
|
60권 0호 |
예루살렘통신 |
125권 0호 |
|
40권 0호 |
기독교 사회복지 |
4권 0호 |
|
40권 0호 |
|
27권 2호 |
|
52권 0호 |
|
32권 2호 |
활천 |
825권 8호 |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
25권 0호 |
|
67권 0호 |
|
74권 0호 |
|
42권 0호 |
|
32권 0호 |
|
51권 0호 |
|
58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