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 동향: 곡물 선물은 3월 18일 종가 기준으로 2021년 말 대비 옥수수 +24.8%, 대두 +23.5%, 소맥 +36.1%를 기록했고, 2월 말 대비로는 옥수수 +7.4%, 대두 +1.7%, 소맥 +13.2%를 기록하였다. 곡물 선물 가격은 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동유럽 소맥 생산지역인 우크라이나의 생산 차질 우려, 2) 미국의 러시아産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 금지 조치로 유가/천연가스 가격 상승, 3) 이를 원료로 하는 비료 가격 역시 동반 상승 한 점 등이 곡물 선물 가격 급등을 가져 온 요인들이다. 곡물 전망: 곡물 시장은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유가 급등과 우크라이나의 4~5월 소맥 파종 시기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곡물 선물 가격의 상승 흐름은 유지될 전망이다. 다만, 1) 미국의 2023년까지 최소 7차례 이상의 금리 인상 가능성 부각, 2) 최종적으로는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 혹은 괴뢰정권 수립 형태로 종식될 가능성 등은 최근 전쟁 우려 속에 단기 급등한 원유/천연가스 가격의 상승 폭을 제한하는 한편, 이와 연동되어 움직인 곡물 가격의 추가 급등을 제한할 요인이기 때문이다. 에너지 동향: WTI 원유 선물 가격은 3월 18일 종가 기준으로 2021년 말 대비 +39.4%를 기록하였고, 2월 말 대비로는 +10.4%를 기록하였다. 가격 급등 원인은 1)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국의 러시아産 원유/천연가스 수입중단 조치 도입, 2) OPEC+의 고유가 유지를 위한 완만한 공급 확대 유지, 3) 미국 연준 의장의 경기회복 흐름 자체는 유지되고 있다는 인식 등을 들 수 있다. 에너지 전망: 기본적으로 1)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러시아산 원유/천연가스 수입금지 조치 발표, 2) EU는 2027년까지 러시아産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제로로 하기 위한 계획안을 5월까지 발표하기로 한 점, 3) 3월 24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담에 참석할 예정인 가운데, EU가 미국처럼 러시아産 원유의 수입 금지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는 점 등은 유가의 하방 경직성을 유지시킬 요인들이다.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57권 0호 |
|
45권 4호 |
|
49권 4호 |
|
49권 4호 |
|
63권 4호 |
|
40권 4호 |
KERI 북한농업동향 |
24권 3호 |
해외곡물시장동향 |
11권 6호 |
|
49권 3호 |
세계농업 |
250권 0호 |
|
28권 4호 |
농업농촌경제동향 |
2022권 3호 |
중국농업동향 |
15권 3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10권 3호 |
|
49권 3호 |
세계농업 |
249권 0호 |
해외곡물시장동향 |
11권 5호 |
|
40권 3호 |
|
45권 3호 |
농업경제연구 |
6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