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빚어진 흑해 지역의 곡물 수출 중단이 세계 곡물 수급 불안을 증폭시켰으며 곡물 가격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수출량의 30%, 옥수수 수출량의 20%, 해바라기유 수출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흑해 지역의 공급망 붕괴로 촉발된 식량 인플레이션은 공급국들의 수출 통제와 수요국들의 식량 안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헝가리는 일찌감치 곡물 수출을 금지했으며 몰도바, 불가리아, 이집트, 터키, 아르헨티나 등이 곡물을 비롯한 유지작물 등의 수출을 제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 국가들뿐만 아니라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곡물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곡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은 공급 단절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대체 공급처를 찾아 나서고 있다. 세계 곡물 공급의 한 축을 장식하고 있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경우 2년 연속해서 들이 닥친 라니냐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으며, 생산 초기 기대와 달리 저조한 생산 실적이 예상된다. 반면 미국의 경우 해외 수요 급증으로 인한 수출 확대로 가용 재고 물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도 문제이다. 북반구 봄철 곡물 생산 시즌이 곧 시작되겠으나, 농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 역시 걸림돌이 된다. 특히 세계 비료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러시아의 비료 수출 중단으로 인한 가격 폭등과 공급 부족 현상이 세계 곡물 생산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의 3월 수급 전망 보고서를 통해 밀, 옥수수, 대두의 세계 수급 전망을 간략히 살펴보면, 밀의 경우 호주의 생산량이 3,630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230만 톤 늘어남에 따라 세계 밀 생산량은 7억 7,852만 톤으로 210만 톤 증가했다. 세계 밀 소비량은 80만 톤 감소했으며, 수출량도 358만 톤 줄어든 결과 세계 밀 기말 재고량은 2억 8,151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330만 톤 증가했다. 옥수수의 경우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남아공의 생산량이 줄었으나, 기타 국가들의 생산량 증가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12억 614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79만 톤 증가했다. 세계 옥수수 소비량은 145만 톤 증가했으나, 교역량은 377만 톤 감소한 가운데 세계 옥수수 기말 재고량은 3억 97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125만 톤 감소했다. 대두의 경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각각 1억 2,700만 톤, 4,350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700만 톤, 150만 톤씩 줄어듦에 따라, 세계 대두 생산량은 3억 5,380만 톤으로 1,006만 톤 감소했다. 세계 대두 소비량은 549만 톤 감소했으며, 수출량도 640만 톤 줄었으나 공급량 감소폭이 더 커 세계 대두 기말 재고량은 8,996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287만 톤 감소했다. 이와 같은 점들을 상기하면서, 이하에서는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제시하는 수급 자료들을 통해 세계 쌀, 밀, 옥수수, 대두 수급 전망을 다룬다. 주요 국가의 품목별 수급 전망에 대해서는 미국 농무부가 3월 9일에 발표한 ‘세계곡물수급전망(WASDE)’ 보고서와 각종 뉴스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49권 2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10권 2호 |
|
49권 2호 |
|
63권 2호 |
|
40권 2호 |
|
56권 0호 |
|
45권 2호 |
KERI 북한농업동향 |
24권 1호 |
해외곡물시장동향 |
11권 3호 |
|
28권 2호 |
농업농촌경제동향 |
2022권 1호 |
중국농업동향 |
15권 1호 |
세계농업 |
247권 0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10권 1호 |
해외곡물시장동향 |
11권 2호 |
|
40권 1호 |
|
63권 1호 |
|
49권 1호 |
|
49권 1호 |
KERI 북한농업동향 |
23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