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f Office Worke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ed Effect of Employabil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고용가능성의 조절효과를 밝히려는 데 있다. 직장생활을 통해 축적한 직무 관련 지식, 기술, 태도 등은 경력 기회를 획득하고 유지하는 것뿐 아니라, 창업 성공을 위한 핵심역량이다. 그런데도 상당수의 직장인은 직무불안정으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고용의 획득·유지·이동·창출에 필요한 역량인 고용가능성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무불안정에 내몰리는 역량 있는 직장인을 창업자로 유도해 창업 활성화 - 고용지표 개선 - 국가 경제 성장의 선순환 구조 도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이 창업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장인의 고용가능성이 창업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장인의 고용가능성이 높을수록 직무불안정성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성이 여성보다 창업의도가 높고, 비정규직의 직무불안정성이 정규직보다 높았으며, 50세 이상의 고용가능성이 50세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역량 있는 직장인을 창업자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직장인의 고용가능성 강화를 위한 직무·역량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교육 및 사업화 지원 그리고 시니어창업, 하이브리드창업, 사내벤처창업 등의 창업지원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비정규직 직장인 및 중장년 직장인들의 창업의도와 창업행동이 강화된다면, 창업의 양적·질적 성장으로 이어져 창업의 생존율 및 성공률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effect of employ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office workers. Job-relate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cumulated throughout work life are not only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career opportunities, but also the core capabilities for a successful start-up. Nevertheless, the quality of life of many office workers is deteriorating due to job insecurity.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cla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which is the competency necessary for obtaining, maintaining, moving, and creating employ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start-ups, improving employment indicators, and deriving a virtuous cycle of national economic growth by inducing competent office workers who are driven to job insecurity to become entrepreneur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insecurity of office workers rai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mployability of office workers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of office workers, it has been confirmed the positive moder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men had higher start-up intentions than women, higher job insecurity of non-regular workers than regular workers, and higher employability over 50 years of age than under 50 years of age. Therefore, in order to attract capable office workers to entrepreneurs, it is necessary to expand job and competency education to strengthen the employability of non-regular office worker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upport for start-up education and commercialization to revitalize start-ups for middle-aged office workers, and support for start-ups such as senior start-ups, hybrid start-ups, and in-house venture start-ups. If this strengthen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behaviors of non-regular workers and middleaged workers, it is expected to lead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start-ups,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survival and success rate of start-up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2권 1호 |
중소기업포커스 |
2022권 9호 |
POSRI 이슈리포트 |
2022권 7호 |
|
24권 2호 |
|
13권 2호 |
|
36권 2호 |
|
16권 2호 |
|
44권 2호 |
|
25권 3호 |
|
35권 1호 |
지방재정 |
2022권 3호 |
|
6권 2호 |
한국융합과학회 춘계 학술세미나집 |
2022권 0호 |
|
11권 6호 |
|
5권 2호 |
|
21권 2호 |
KEFe매거진 |
93권 0호 |
|
21권 3호 |
ICT Industry Outlook of Korea |
2022권 0호 |
|
30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