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Introduction
Ⅱ. Current State of U.S.-China Relations
Ⅲ. Security Challenges to Watch Amid Escalating U.S.-China Competition
Ⅳ. ROK-Japan Relations and the Potential for Future-Oriented Cooperation
Ⅴ. Policy Recommendations for Washington and Seoul
2002년에도 미중간 경쟁과 대립은 계속될 것이며, 모든 분야에 걸쳐 탈동조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맞춘 새로운 질서와 규칙 설정, 인류 보편적 가치와 인권 추구를 모두 포함한 국제규범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미국(동맹국들)과 중국의 첨예한 경쟁은 양국 모두와 동등하게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국가들에게 더 많은 도전과제를 안겨줄 것이다.
바이든과 시진핑은 양국관계가 전면적인 충돌을 피하면서 경쟁할 필요성을 강조해 왔지만, 양국 국익 충돌 규모와 국내정치 분위기를 고려할 때, 책임감 아래 이뤄지는 경쟁을 위한 '가드레일'을 어느정도까지 만들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관리 전략은 현재까지 크게 두 가지 노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1)미국의 동맹을 강화하고 동맹 및 파트너와 단결해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한다. (2)중국과 경쟁, 대결, 공동의 이익에 대한 협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다면적인 관계를 수립한다. 미국은 중국으로 인해 제기된 문제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동맹을 강화하고 동맹 및 파트너와 단결을 촉진한다는 첫 번째 전략에서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지만, 사실 미중관계 개선을 위한 실무적인 틀을 마련하는 부분에서는 별 진전이 없었다.
미국과 중국은 모든 영역에서 경쟁하고 있지만, 향후 몇 년 동안 주의깊게 지켜봐야 할 중요한 안보과제는 다음 세 가지라고 할 수 있다. 1. 대만해역의 불안정 2. 중국의 급속한 핵무기 현대화 및 확장 3. 중국이 주도하는 동맹체제의 부상과 대결 가능성이다.
북한 역시 이 지역에서 또다른 심각한 도전요인이다. 북한 비핵화을 위해서는 모든 주요 이해당사자들, 특히 한국, 미국, 중국 사이에서 협력이 필요하지만, 한반도에서 미중 갈등을 초래하는 변수들만 고려해도 양국 협력은 여전히 요원해 보인다. 게다가 북한은 지금까지 협상 테이블로 돌아올 의향이 없어 보인다.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자와 성노예에 대한 법적 책임과 배상 문제로 한일관계는 여전히 심각한 경색 상태에 놓여 있다. 한일 양국 지도자들이 처한 국내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올 봄 양국 사이에서 완전하고 즉각적인 새로운 관계 개선에 대한 희망은 없어 보인다.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 쌍무적으로 협력하는 한국과 일본의 기존 역량과 각각 다자 간 연대에 동참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판단해보면, 관계개선에 따른 잠재적인 이익보다 위험 가능성이 더 커 보인다. 한국, 미국, 일본이 공통적으로 이 지역에서 떠안고 있는 도전의 규모를 감안할 때 한일 간 동맹 및 상호 협력 부재로 기회는 없어졌다. 특히 한국은 미국 동맹국 및 파트너 간 지역 다자협력의 무게중심이 쿼드로 옮겨가면서 다른 국가들에 뒤처졌다.
한일 공동성명에 따르면 양국 지도자들은 역사적 갈등을 해결하기 경제적, 안보적 수단이 아닌 외교수단을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리고 실무자들이 이견을 줄이고 안보, 경제, 외교 분야에서 실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겠다고 약속했으므로 이 성명은 한일관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은 두 나라 사이에서 관계 개선을 지속적으로 권장하고 한미일 3국 협력의 동력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한미동맹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한미 양국은 물론 일본처럼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파트너들과 긴밀한 협력은 앞으로 수십 년간 맞닥뜨리게 될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할 것이다. 미국은 인도-태평양 지역과 관련된 긍정적인 의제를 바탕으로 동맹국과 관계를 계속 심화시켜야 하며, 특히 지역 전략에서 경제적 요소를 확대하여 적절하고 경쟁력 있는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국 정부는 또한 중국과 책임 있는 경쟁을 위해 광범위한 체계와 실질적인 메커니즘을 마련하는 데 힘써야 한다. 한국은 공동의 가치와 국가이익에 따라 이 지역 다자간 활동과 협력에 기여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정부는 현실적이면서도 진보적인 판단과 우선적으로는 미국과 그리고 공동 가치를 수호하는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 증진에 중요한 이해당사자들을 결집시키는 고유의 역할을 계속 수행해야 할 것이다.
U.S.-China relations will continue to be characterized chiefly by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in 2022, and the further decoupling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cross all domains. The growing contest between Washington and its closest partners and Beijing to shape the international order-from writing the rules and norms for the digital age to defining universal values and human rights, will pose increasing challenges for states seeking to preserve equidistant ties with both sides.
While leaders in Washington and Beijing have stressed the need to compete without veering into outright conflict,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two sides will be able to erect “guardrails” for responsible competition remains an open question, considering the extent of their conflicting national interests and the domestic political climate in both countries.
The Biden administration’s strategy for managing the challenges posed by China has been largely structured on two broad efforts to date: (1) strengthening U.S. alliances and rallying allies and partners to better compete with China, and (2) establishing a multi-faceted relationship with China that includes elements of competition, confrontation, and cooperation on common interests. Although the administration has found substantial success on the first pillar of strengthening alliances and boosting coalitional efforts to collectively manage the challenges posed by China, there has been little progress on establishing a working framework for U.S.-China relations.
While U.S.-China competition spans across all domains, three immediate to long-term security challenges to watch closely in the coming years include: instability in the Taiwan Strait, China’s rapid nuclear modernization and expansion, and the potential rise of rival Chinese-led alliance system.
North Korea presents another acute challenge to the region. While denuclearizing North Korea will require coordinated efforts among all major stakeholders, and especially the ROK, United States and China, cooperation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on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a distant proposition given the sheer number of other pressing challenges weighing the U.S.-China bilateral relationship, in addition to Pyongyang’s inward turn and its apparent lack of interest in returning the negotiating table thus far.
ROK-Japan relations remain significantly strained due to disputes over legal accountability and reparations for forced wartime laborers and sexual slavery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Hopes for a full and immediate reset of relations with new leadership in Tokyo and in Seoul this spring may be overly ambitious given the domestic political risks for leaders on both sides. The risks may be seen as outweighing any potential benefits of revitalized relations given Seoul and Tokyo’s existing ability to work bilaterally with the United States and to respectively plug into other multilateral regional groupings. The lack of inter-alliance cooperation and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Seoul and Tokyo is a missed opportunity, however, given the magnitude of the common challenges facing the three states in the region. Seoul, in particular, risks falling behind as the center of gravity for regional multilateral cooperation among U.S. allies and partners moves to the Quad.
A joint statement by the two leaders of South Korea and Japan expressing a commitment to use diplomacy rather than unrelated economic and security levers to address historical grievances, and to empower working-level officials to resolve differences and advance pragmatic and future-oriented cooperation across the security, economic and diplomatic sectors could serve as a promising start for steadily improving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e United States should also continue to encourage the improvement of bilateral ties between its two allies and to provide impetus for trilateral cooperation.
In conclusion, the U.S.-ROK alliance faces significant challenges in the region. Clos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llies, and with like-minded partners like Japan, will be critical for managing the diverse tasks that lie in the decades ahead. The United States should continue to deepen engagement with allies based on a positive agenda for the Indo-Pacific and should look to especially expand the economic component of its regional strategy to remain a relevant and competitive partner of choice. Washington should also work to establish a broad framework and practical mechanisms for responsible competition with China. South Korea can play a critical role in the region by contributing to multilateral initiatives and regional needs based on its values and interests. Seoul should continue to use its unique position to rally stakeholders to advanc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realistic, yet forward-looking assessments, and in close coordination first with the United States, and with like-minded partners.
UCI(KEPA)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정치/외교학
: KCI등재
:
: 연3회
: 2508-1217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16-2022
: 151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