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맹혜영 ( Maeng Hye Young ) , 이성규 ( Lee Sungkyu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36 (3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공동의존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함으로써 대상자 가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회복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알코올 사용장애 대상자와 함께 거주하는 가족구성원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Creswell(2013)의 사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공동의존 경험과 관련한 6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29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6개의 주제는 '고통의 시간', '역기능적인 가족관계', '인내와 노력', '호전되는 가족관계', '건강한 관계로 나아감', '함께하는 시간의 소중함'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 사용장애 가족의 공동의존을 감소시키고 재발방지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explore the experience of co-dependence in familie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acilitating recovery through deep understanding of families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family members who currently reside with individuals with alcohol use disorders,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using a case analysis method of Creswell (2013). Study results on co-dependence experience of families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s were classified with 6 themes, 12 sub-themes, and 29 meaningful statements. The six themes were 'time of suffering', 'dysfunctional family relations', 'patience and effort',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 'progressing to healthy relationship', and 'preciousness of the time family members spend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co-dependence of families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s and preventing relapse were discussed.
저자 : 허경화 ( Heo Kyunghwa ) , 양혜원 ( Yang Haew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7-77 (4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야간에 택배 물류센터에서 일하는 중년기 기혼여성의 생애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택배 물류센터에서 야간근로에 종사하는 40대와 50대 기혼여성 7명이었고, 자료수집은 심층면접과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Giorgi가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의 4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39개의 의미 단위, 28개의 의미통합, 11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가 분석되었으며, 최종 구성요소는 '경제적 위기에서 가족을 고려하며 현실적으로 선택한 일', '병들고 침해되는 '나'라는 존재와 위축되는 관계', '구멍 뚫린 가정과 독박 돌봄노동', '나를 지키고 함께 하며 버텨냄', '위기를 벗어나 후회 없는 내일을 소망함'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택배 물류센터에서 야간에 근로하는 중년기 기혼여성의 복지에 관하여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used Giorg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in-depth exploration of the lif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in middle age working at the delivery service logistics center at nigh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ven marri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working at the delivery service logistics center at night.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and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four stage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s a result, 139 semantic units, 28 semantic integrations, 11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were analyzed. The final components were derived as 'realistically choosing a job considering the family in an economic crisis', 'sick and violated self-existence and shrinking relationship', 'perforated home and forced single-handed care work', 'protecting myself and enduring together', 'getting out of a crisis and hoping for a tomorrow without regre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elfare of middle-aged married women working at night at the delivery service logistics center was discussed and suggested.
저자 : 이현지 ( Lee Hyun Ji ) , 김기현 ( Kim Kihyun ) , 정명신 ( Chung Myung Sin ) , 이미라 ( Lee Mira ) , 김재원 ( Kim Jae-w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9-110 (3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아동의 일차적 지지체계인 비가해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탐색하였다.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을 내방한 만 6∼17세 아동의 어머니 111명과 대조군 어머니 323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아동기 피해력(예. 성학대, 신체학대, 정서학대, 신체방임, 정서방임 등)과 현재의 심리사회적 특성(예. 우울, 자아존중감 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폭력 피해아동 어머니와 비피해아동 어머니 간에 어머니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현재의 심리사회적 특성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 이러한 차이가 모녀의 성폭력 피해를 함께 고려한 네 집단 구분에서는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심리사회적 특성 중 어머니의 우울을 중심으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성폭력 피해아동의 어머니는 자녀 성폭력 피해 후 다양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었으며, 이때 어머니 본인의 아동기 학대경험이 이러한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성폭력 피해아동 지원에 있어 비가해 어머니를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가족중심 개입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Present study examine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nonoffending mothers of sexually abusd girls. The sample consisted of 111 mothers of children who have been sexually abused and 323 comparison group mothers. Variables included were mothers' childhood abuse history (e.g., total score of childhood abuse, sexual abuse,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physical neglect, emotional neglect, polyvictmization) and current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e.g., depression, self-esteem, community neighborhood safety, cumulative risk factor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1) whether mothers of sexually abused girls were distinguishable from the comparison group on mothers' childhood abuse history and current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2) whether various patterns differ in four subgroups of mothers(i.e., mother and daughter sexually abused, mother-only abused, daughter-only abused, neither mother nor daughter), and (3) whether the sexual victimization of both mother and daughter were related to mothers' depression. Results suggest that nonoffending mothers may face considerable psychological challenges after being exposed to their children's sexual abuse victimization, and that mothers' own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in childhood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ese difficulties. The implications for comprehensive and effective family-centered intervention for non-understanding mothers of sexually abused girls were presented.
저자 : 진재찬 ( Jin Jae-chan ) , 유서구 ( Yoo Seo-koo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11-142 (3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의 혁신적 실천에 상황요인과 조직요인이 어떠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생활복지사, 자립지원전담요원, 보육사) 431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주요 분석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상황요인인 종사자 실천환경 수준과 조직요인인 실천역량지원의 충분성, 조직의 적극적인 외부환경 대응이 혁신적 실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아동양육시설의 혁신적 실천을 위해 아동에게 필요한 지역자원 발굴과 활용, 종사자의 근무환경을 배려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훈련의 제공, 종사자의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모색하는 실천환경의 조성, 외부환경과 아동의 욕구에 대응 가능한 포용적 시스템 마련 등을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tingency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innovative practices in residential child care facilitie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surveyed data from nationwide sample of 431 workers serving in residential child care facilities were analyzed.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environment level for worker's practices, support for practical competency for workers, and levels of response to active external environment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innovative practices in residential child care facilities, after accounting for control variables in the study. In addition to the direct impact of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the model, contingency factor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innovative practices in residential child care facilities through organizational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implying that residential child care facilities have to make an effort for mobilizing community resources needed by children,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to workers, for creating supportive practice environments that new attempts and changes are easily made by workers, for designing system settings that allows to respond to environment changes and the needs of children.
저자 : 김소연 ( Kim Soyoun ) , 안선경 ( Ahn Seon Kyeong ) , 정익중 ( Chung Ick-joong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43-179 (37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대표 내재화 문제인 우울, 사회적 위축, 신체화 증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사이버비행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청소년복지적 차원에서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1 패널의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1학년 청소년 2,58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 위축, 신체화 증상 모두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청소년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 수준이 높아지며 이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키지만, 사회적 위축은 사이버비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의 예방, 개입을 위한 청소년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cyberbullying and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somatic complaints. To this end, we used the 1st wave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subjects consisted of 2,587 1st-grade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conducted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somatic complaints.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ositively affected adolescents' cyberbullying.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cyberbully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somatic complai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actice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are discussed.
저자 : 김경희 ( Kim Kyunghee ) , 김유나 ( Kim Yuna ) , 심의선 ( Shim Wesun ) , 이태인 ( Lee Tae I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81-207 (27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공공화와 함께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도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아동학대 사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아동학대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아동학대 사례 유형화의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학대 사례 유형화를 목적으로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학대 위험요인들의 유무뿐 아니라 포괄적 위험요인들의 심각성 수준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학대 사례는 모든 위험요인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본형' 집단(78.9%), 가족내 위기와 스트레스 위험요인 수준이 높은 '가족위기스트레스형' 집단(8.2%), 주거환경 및 사회적 지지체계가 취약한 '환경취약형' 집단(5.7%), 행위자의 잘못된 인식 및 행동, 보호자의 양육무관심이 두드러진 '양육문제형' 집단(3.6%), 보호자 질환 위험요인 수준이 높은 '보호자 질환형' 집단(3.5%)의 다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추가적으로 각 유형별 인구학적 특성, 학대유형, 재학대발생율, 행위자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학대 사례 유형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As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response system to child maltreatment progresses in South Korea, its Child Protection Agencies are expected to provide professional and standardized services to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To reduce the complexity of child maltreatment cases where case managers have to factor in multiple variables, the present study applies a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a recent dataset (N=44,347) extra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Child Abuse Information System. A five-profile solution provides the best fit for the data. The five profiles are 1) minimal risk profile comprising 78.9% of all cases with the lowest average scores in all risk factors, 2) family crisis and stress profile(8.2%), 3) poor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connections profile(5.7%), 4) parenting problems profile(3.6%), and 5) a caregiver with diseases profile(3.5%). Cross-profile comparisons of key demographic, maltreatment type, and ab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presented to describe each profile. Practice implications are provided.
저자 : 박수경 ( Park Soo-kyung ) , 서경주 ( Seo Kyung-joo ) , 임정우 ( Lim Jung-woo ) , 한은비 ( Han Eun-bi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09-237 (2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가족 의사소통이 성인 비장애 형제의 환경통제력과 자아수용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실천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거주 발달장애인 가족의 성인 비장애 형제 159명이며, 자료는 오프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 가족 의사소통은 비장애 형제의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비장애 형제의 환경통제력과 자아수용은 가족 의사소통과 비장애 형제의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직렬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족 의사소통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수용의 단일 매개효과는 유의한 반면, 환경통제력의 단일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장애 형제의 사회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가족 의사소통, 환경통제력, 자아수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조모임, 인지행동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실천적 개입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family communication affects social anxiety by mediating the environmental mastery and the self-acceptance of the adult non-disabled sibling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seek practical intervention sche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adult non-disabled sibling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Seoul.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ffline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on social anxiety of non-disabled sibling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environmental mastery and self-acceptance of non-disabled siblings sequential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social anxiety of non-disabled siblings. The singular 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of non-disabled siblings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social anxiety of non-disabled siblings was significant, whereas the singular medi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mastery of non-disabled siblings was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interventions such as self-help groups and cognitive behavior programs to improve family communication, environmental mastery, and self-acceptance are needed to reduce social anxiety in non-disabled siblings.
저자 : 나지훈 ( Na Jihun ) , 이재경 ( Lee Jaekyoung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복지학
69권 4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39-266 (28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도박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감각추구성향이 도박인지왜곡을 통해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도박접근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구글독스에서 제공하는 설문시스템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481명을 대상으로 감각추구성향, 도박문제, 도박인지왜곡, 도박접근성을 측정하여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감각추구성향은 도박문제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도박인지왜곡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각추구성향이 도박인지왜곡을 매개로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도박접근성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도박문제 발생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고, 도박문제의 예방과 감소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nsation seeking on gambling problems through gambling related distorted cogni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access to gambling. To achieve this purpose, study sample(n=481) was recruited b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Sensation seeking, gambling problems, gambling related distorted cognition, and access to gambling were measured, and PROCESS macro Model 4 and 14 were us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sensation seeking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gambling problems. Second, gambling related distorted cognition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gambling problems. Third, the impact of sensation seeking on gambling problems through gambling related distorted cognition was moderated by access to gambling, which means that the mediation effects were increased, when the level of access to gambling was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factors influencing gambling problem amongst university students are discussed, and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prevent and intervene in gambling problems.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