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eterminants of Export of Six Major Fruit
10.47085/KJFME.39.1.3
Ⅰ. 서론 Ⅱ. 수출현황과 제약요인 Ⅲ. 6대 과일 수출 증대요인 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도>
This study identifies export determinants by constructing panel data related to the export of the six major fruits(apples, pears, peaches, grapes, tangerines, sweet persimmons) from 2005 to 2020. To this end, an export equation with export volume by fruit as a dependent variable is set, and recent fruit supply and trade conditions are included in the explanatory variable as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fixed-effect model, the relative prices(wholesale price / export price), production, GDP per capita in the exporting country, number of exporting countries, labor cost share, and distribution margin rate have significant impacts on fruit export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strategies and measures to enhanc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six major fruits are presented. More FTAs to be signed in the future could be an opportunity to increase exports of Korean frui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export competitiveness because an increase in fruit exports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income of fruit farmers. Therefore, specific empirical research and effective policy support should be continu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8권 2호 |
지방세포럼 |
62권 0호 |
경제전망시리즈 |
2022권 1호 |
|
107권 0호 |
재정포럼 |
311권 0호 |
|
27권 1호 |
해양한국 |
2022권 6호 |
|
40권 2호 |
충남경제 |
2022권 5호 |
주간금융브리프 |
31권 9호 |
이슈리포트 |
2022권 3호 |
VIP Report |
739권 0호 |
한국경제주평 |
928권 0호 |
|
32권 2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46권 0호 |
|
78권 0호 |
|
8권 1호 |
재정포럼 |
310권 0호 |
KILF Report |
127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69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