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US-China Trade Imbalance and the Real Exchange Rate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Ⅱ. 미ㆍ중 무역수지 결정요인 분석 Ⅲ. 무역수지의 지속성과 중국 환율제도의 관계 Ⅳ. 결 론 參 考 文 獻
본 연구는 미ㆍ중 무역수지와 실질환율의 실증적 관계를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벡터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 미ㆍ중 무역수지를 결정하는 장ㆍ단기적인 거시변수를 함께 고려했을 때, 실질환율이 양국의 무역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정하였다. 장기균형관계로 볼 때 양국의 재정수지, 금융심화, 무역개방도의 차이와 실질환율이 미국의 대중적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질환율의 하락(위안화 가치의 절상)은 무역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단기적으로는 무역개방도와 교역조건과 같은 무역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분산분해분석에 따르면 장ㆍ단기적으로 실질환율의 양국 무역수지에 대한 설명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하여 양국의 무역 불균형의 지속성 변화를 추정한 결과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지속성이 감소하였다가 최근 무역분쟁이 본격화되면서 다시 지속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이래로 실시된 중국의 환율제도 개혁이 추정된 무역 불균형의 지속성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China trade balance and the real exchange rate from the two perspectives. First, the results from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show that the real exchange rate along with fiscal deficit, financial deepening and trade openness significantly affects the US-China trade imbalance in the long term while only trade-related variables such as trade openness and terms of trade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short-term dynamics of trade balance. According to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the real exchange rate has only limited explanatory power on the trade balance of two countries both in short-term and long-term. Second, we estimate the change of the persistence of US-China trade imbalance by the regime-switching model. Its persistence decreased between 2010 and 2015 and has been on the rise in the period of trade dispute. The change of the persistence of trade balance is estimat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xchange rate system reform of China since 201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
46권 1호 |
|
19권 4호 |
해양한국 |
2023권 2호 |
|
28권 4호 |
|
14권 2호 |
|
29권 2호 |
협상연구 |
25권 2호 |
TIP(TAX ISSUE PAPER) |
87권 0호 |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2020권 1호 |
|
36권 4호 |
|
29권 4호 |
|
24권 4호 |
|
24권 4호 |
|
25권 4호 |
|
80권 0호 |
|
27권 4호 |
저널 물 정책·경제 |
38권 0호 |
|
36권 4호 |
재정포럼 |
318권 0호 |
충남경제 |
2022권 1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