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이 주의집중 문제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면의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y on Depression through Attention Problem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박이슬 ( Park Yi Seul ) , 김선미 ( Kim Sun Mi ) , 김영희 ( Kim Yeong Hee )
청소년학연구 29권 3호 219-241(23pages)
DOI 10.21509/KJYS.2022.03.29.3.219
UCI I410-ECN-0102-2023-300-000507101

본 연구는 중학생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주의집중 문제, 우울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의존이 주의집중 문제를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수면의 질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고 수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기여하여 청소년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PYS) 자료 중 2차년도 자료인 중학교 2학년 데이터이며, 모든 항목에 결측치 없이 응답한 2,404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4.0의 PROCESS Model 1, 4, 1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주의집중문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 주의집중 문제, 우울의 관계에서 우울을 낮출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수면의 질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및 임상현장에서 스마트폰 의존으로 우울을 보이는 청소년에게 개입할 때 수면문제를 파악하여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iddle school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h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attention problems, and to present basic data to prevent adolescents' depression and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o this end,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PYS) were used, and 2,404 people who responded to all items without missing values were used for analysis. To verify this research problem, PROCESS Models 1, 4, and 14 of SPSS PROCESS Macro 4.0 were used. What is noteworthy in this study was, first, interested in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by exploring sleep quality as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lower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ttention problems, and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it revealed the possibility that mental health such as attention problems and depression can be alleviated by improving the sleep quality in adolescents. Accordingly, when intervening in adolescents who show depression due to smartphone dependency in education and clinical sites, the need for intervention to improve sleep quality by identifying sleep problems was suggeste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