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0
216.73.216.20
close menu
KCI 등재
코로나19의 확산과 이행기 청년의 고용변화
Covid19 Pandemic and the Divided Youth Labor Market in Korea
함선유 ( Ham Sunyu )
산업노동연구 28권 1호 69-101(33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524222

본 연구는 정규교육과정을 마치고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이행기 청년들이 경험한 코로나19의 영향을 학력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통계청에서 매월 실시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의 2019~2020년 미시자료를 토대로 고용률과 최근 실업, 최근 입직, 그리고 적극적 구직활동과 취업준비활동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가 청년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대면서비스 관련 일자리의 감소에 따른 실직자 증가이다. 이들 일자리에 주로 종사하고 있는 고등학교 졸업 직후의 여성 청년들의 고용 감소가 코로나19의 1차와 3차 유행기에 관측되었다. 두 번째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하반기 상용직 채용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전문대 이상 학교를 졸업한 뒤 2~4년 경과한 청년들의 고용감소가 확인되었다. 이들 집단 중에서도 특히 남성 청년은 비경제활동상태에서 취업을 준비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이는 괜찮은 일자리를 찾는 신규 입직자가 누적되면서 향후 제한적 일자리에 대한 경쟁이 가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youth labor participation, focusing on who is in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labor market. It reviews employment rates, labor market flow, and job-seeking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EAPS) monthly data between 2019 and 2020. The results show two different strains of the Covid19 effect on the youth labor market. Firstly, young women who recently graduated from high school were directly affected by Covid-19 as they disproportionately occupied jobs requiring face-to-face services. Secondly, young men and women who graduated from school about 2 to 4 years ago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mployment rate. It is because companies reduced recruitment of permanent basis employees in the second half of 2020 as the Covid19 pandemic was prolonged. However, young men waited for decent jobs rather than looking for jobs in such economic depression.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방법과 자료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