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apore 2021: Searching for ‘New Normal’ in COVID-19 pandemic
Ⅰ. 머리말 Ⅱ. 정치 Ⅲ. 경제 Ⅳ. 대외관계 Ⅴ. 맺음말 - 전망 참고문헌
지난 2020년과 2021년 전 세계가 코로나로 인해 중대한 변화를 겪어 온 가운데, 싱가포르는 국가와 인구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만큼 다른 국가들에 비해 좀 더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 그 변화의 기로에서 싱가포르는 코로나19 이후의 체질개선, 즉 ‘뉴노멀’을 준비하고 있다. 2020년의 총선과 2021년 4세대 총리 인선 관련 이슈들은 싱가포르라는 국가의 미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총선에서의 노동당과 진보당의 선전은 기존 인민행동당 중심의 정치 지형이 밑바닥 민심으로부터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었고, 특히 디지털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4대 총리로 내정되었던 헝스위킷의 실각은 다음 총리에 대한 궁금증과 더불어 더욱 젊은 후계를 모색하도록 하였는데, 코로나19 상황이 지금처럼 심각하게 지속되는 한 리셴룽 총리가 급격하게 물러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후보군이 모두 40대 중후반, 50대 초반으로 젊어 아직 지켜볼 여지는 있다. 무엇보다 가장 근본적인 변화는 사회내부 인종 간 화합이다. 싱가포르 거주민의 인구구성 및 인구 정체, 외국인 이주민들의 유입, 그에 따른 인종간 화합과 다양성 조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주목받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중국계 주도의 다인종ㆍ다문화 사회를 구성해 온 싱가포르라는 도시국가의 사회구조와 인종간 화합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지, 그리고 그 변화 속에서 ‘싱가포리안’으로서의 정체성은 또 어떠한 전환점을 맞이할 것인지 등을 정치 엘리트들과 대중들이 고민하기 시작했다. 경제분야에서는 지난 2년 동안 싱가포르 경제의 회복과 성장을 실질적으로 견인한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강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더욱 급증한 전 세계적 반도체 및 바이오 산업 수요에 주력할 것은 분명하다. 대외관계는 미중관계 속 균형외교, 다자 외교관계 모색, 아세안 중심외교 등 코로나19 이전과 큰 틀에서는 달라지는 것이 없지만, 다자 외교관계를 모색하는 경향이 좀 더 강해지고 있다는 점, 특히 국방 안보 분야에서 미국 중심이 아닌 호주, 인도, 중국 등 다양한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Singapore, a small-sized city-state in Southeast Asia, has experienced more dramatic changes than others of the globe while the COVID-19 pandemic swept over worldwide during 2020-2021. In the middle of those changes, Singapore prepares for the post-pandemic structural improvement, so-called the ‘New Normal’. Two big events in politics, the General Election in 2020 and the resignation of Heng Swee Keat who was nominated as the fourth Prime Minister after Lee Hsien Loong gave us some tips on the future direction of Singapore. The positive performances of two opposite parties - the Worker’s Party and the Singapore Progress Party - show an indication that the PAP-leaded political landscape in Singapore would be changing with the role of the digital media. The step down of Heng Swee Keat caused curiosities on the next younger leader, but Lee Hsien Loong, the current Prime Minister would stay in power so far as the height of the pandemic. On the one hand, it has been focused by politicians, academia, and the public that there would be a need to re-arrange diverse issues on inter-racial harmonies, such as demographic structure and stagnation, the inflow of foreign labours, and concept on the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community. They, ultimately, began to wonder what direction Singapore’s Chinese-leaded multiethnic social structure and inter-racial harmony would go and how ‘Singaporean national identity would be re-conceptualized. In the case of the economy, it is unavoidable to launch the manufacturing-centered reorganization, which has led the actual economic recovery and development for the last two years. It is clear, in particular, that Singapore would focus on increasing demand for the global semiconductor and biomedical sector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foreign relation was the stronger focus on the multi-lateral relations amid the lopsided alliance with the US, especially on the cooperation in the defense and security sector with India, Australia, and China.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41권 1호 |
|
64권 0호 |
|
14권 2호 |
|
24권 1호 |
성균중국관찰 |
39권 0호 |
성균차이나브리프 |
10권 3호 |
|
32권 2호 |
|
15권 1호 |
|
27권 1호 |
성균차이나브리프 |
10권 2호 |
|
45권 1호 |
|
28권 0호 |
|
56권 2호 |
|
11권 2호 |
|
32권 2호 |
Acta Via Serica |
7권 1호 |
|
15권 1호 |
|
32권 1호 |
|
24권 2호 |
|
32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