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orama et allégorie. Sur la transfiguraton poétique du paysage parisien et du sujet poétique dans Le Crépuscule du soir de Baudelaire
10.18824/ELLF.129.03
Ⅰ. 서론: 보들레르의 파리, 시선과 시적 주체 Ⅱ. 파리, 파노라마와 시적 변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보들레르는 운문과 산문을 통틀어 최소 두 차례 자신의 시를 통해 파리의 전체적 외관을 파노라마적 풍경으로 담아내기를 시도했으나 그중 한 차례만이 완성된 작품으로 실현되었다. 『악의 꽃』의 운문시 「저녁 어스름」을 통해 보들레르가 그려낸 도시의 풍경, 그리고 그 안에 담긴 독특한 파노라마적 시선은 이 시인의 시적 자아가 도시라는 대상의 시적 진실을 붙잡기 위하여 취하는 이중적 태도를 드러내며, 표면상 이는 대상과 시적 자아의 대립적 관계로 드러나 있다. 이 이중적 태도와 관점은 그것이 얼핏 모순적으로 보이는 만큼, 실은 근대 파리의 주제를 다루기 위해 바로 이 시인이 동원한 방법상의 새로움 및 현대성과 연결되어 있다. 보들레르가 「저녁 어스름」 속에서 그의 대상인 도시 및 그 도시 속의 서정적 주체 ‘나 je’, 그리고 이 둘의 관계 자체를 시적으로 변용하고 기록하기 위해 사용한 알레고리의 기법은 그 자체로 전통적 알레고리 기법을 혁신함과 동시에 (또다른 파노라마 기획 속에서의 보들레르 자신을 포함한) 동시대 낭만주의자들의 파에자지오와 확연하게 단절하여, 차후 보다 본격적으로 보들레르에게서 도시의 테마를 중심으로 발전되는 산문적이며 아이러니적인 시학을 예시한다.
Malgré sa renommée comme poète de Paris par excellence, Baudelaire n’a donné dans toute sa poésie que deux poèmes de vers d’une description panoramique de l’ensemble de sa ville. Dans l’une d’elles, Le Crépuscule du soir des Fleurs du Mal, le sujet poétique adopte une double attitude envers son objet, la ville, afin d’en pénétrer la vérité poétique. Cette attitude qui s’extériorise dans le texte par, en un premier degré, un rapport antagoniste entre le « je » et la ville ; mais en fait, une observation de la perspective particulière, voire paradoxale, prise par le sujet lyrique face à son objet, nous conduit à apprécier plutôt la nouveauté des procédés baudelairiens, qui s’appliquent à tansfigurer le spectacle de la ville en un panorama allégorique. En rupture avec les panoramas urbains typiques des romantiques (et de Baudelaire lui-même dans le projet de l’« Epilogue » de 1861), qui toujours veulent faire de Paris un paysage synthétique, Baudelaire, dans Le Crépuscule du soir, recourt volontairement aux procédés allégoriques décomposant la scène et réanimant les éléments qui s’y trouvent. Et c’est surtout en se détournant du problème de l’inadéquation du thème du panorama de la grande ville moderne et du genre de la poésie lyrique ― d’où l’antagonisme apparent entre le sujet et l’objet, mais qui plus profondément témoigne de la sympathie réelle du poète pour sa ville funèbre ― que la figure du « je » s’insère ironiquement dans ce paysage qu’on peut dire d’« allégorie réelle » de sa vill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130권 0호 |
|
129권 0호 |
|
128권 0호 |
|
127권 0호 |
|
126권 0호 |
|
125권 0호 |
|
124권 0호 |
|
123권 0호 |
|
122권 0호 |
|
121권 0호 |
|
120권 0호 |
|
119권 0호 |
|
118권 0호 |
|
117권 0호 |
|
116권 0호 |
|
115권 0호 |
|
114권 0호 |
|
113권 0호 |
|
112권 0호 |
|
11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