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이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주 소재요양원 직원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14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5시간씩 5회기로 총 25시간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 사전, 사후 및 실험과 통제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에서 직무만족을 제외한 모든 종속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이 감정노동자의 개인적 심리자원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효과성을 증대하는 중재방법으로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감정노동으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다양한 변인의 적용이 가능한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을 감정노동으로 인한 문재해결 및 예방 차원의 중재방법으로 활용하고 확대 가능성을 재고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 sociodrama program for emotional workers is effective in reduci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o this purpose, 14 experimental groups and 14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from nursing home employees in Jinju to conduct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five-session program (25 hours in total) once a week for five hour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tested for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 and post-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verified through SPSS 27.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job satisfaction in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ime point and th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ociodrama program is effective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emotional workers' personal psychological resources and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solving problems caused by emotional labor, the sociodrama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with various variables,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solving problems and preventing problems caused by emotional labor, an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can be reconsidered.
UCI(KEPA)
I410-ECN-0102-2022-100-001040598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심리학
: KCI후보
:
: 반년간
: 1229-313x
: 2383-9376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8-2021
: 227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