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Ways to Secure Education Publicness in Overseas Korean Schools
Ⅰ. 서론 Ⅱ. 교육 공공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 Ⅲ. 재외 한국학교와 교육 공공성 Ⅳ. 재외 한국학교의 교육 공공성 확보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재외 한국학교의 교육 공공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검토하여 재외국민의 교육기본권 실현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외 한국학교는 재외국민교육법에 따른 대한민국의 정규 교육 기관으로, 국내의 초·중등학교와 같은 지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상의무교육과 무상교육의 대상에서 배제되고 있다. 이는 국가가 교육 공공성 확보를 위한 책무를 다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재외 한국학교 재학생들의 교육기본권, 평등권이 침해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재외 한국학교의 교육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적 개선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외 한국학교의 교육 공공성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법률적, 현실적 쟁점을 검토하고 재외 한국학교의 교육 공공성 확보를 위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o realize the basic educational rights of overseas Koreans by establishing measures to secure the education publicness in overseas Korean schools. Although overseas Korean schools are 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under the Act O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Korean Nationals, they have limitations in the size and aspect of support for educational services due to various practical limitations. Although overseas Korean schools have the same status as domest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y are excluded from free compulsory education and free education. This can be evaluated as the state's failure to fulfill its responsibilities to secure publicity in educa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and equal rights of overseas Korean school students are violated. Therefor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budget support are needed to realize the publicity of overseas Korean schools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need to secure education publicness of overseas Korean school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egal and practical issues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to secure education publicness of overseas Korean schools.
I410-ECN-0102-2022-300-001044123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79권 0호 |
|
9권 1호 |
BFL |
108권 0호 |
|
28권 2호 |
|
70권 0호 |
|
35권 1호 |
|
34권 1호 |
|
45권 0호 |
|
63권 2호 |
|
20권 2호 |
|
35권 2호 |
|
30권 1호 |
|
26권 4호 |
|
8권 2호 |
|
39권 2호 |
|
22권 2호 |
|
16권 1호 |
|
105권 0호 |
|
71권 3호 |
|
32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