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와 더불어 인문주의자들은 개인의 필요성에 기반한 세계관의 확립을 절감하고 해상 팽창을 자극했다. 15세기 말 항해가와 탐험가들은 지리학, 천문학 및 항해술이 발달함에 따라 해양 시대를 개막했다. 대항해의 개시와 더불어 수많은 연대기가 생산되었다. 연대기 작가들은 자신들의 글에 신대륙 아메리카의 ‘모든 것’을 담아내려고 시도했기 때문에 연대기를 통해 당시 유럽인이 포착한 아메리카의 ‘현실’과 유럽인의 시각, 평가, 욕망 등을 파악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아메리카에 관한 최초의 연대기라 할 수 있는 끄리스또발 꼴론의 『항해일지』에는 유럽인의 아메리카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인 ‘해석’이 담겨 있다. 본고에서는 『항해일지』의 내용을 분석해 당시 꼴론이 아메리카의 자연을 어떻게 관찰하고 이해해서 에스파냐 왕실에 보고했는지, 어떤 자연물에서 어떤 이용 가치를 포착했는지 살펴보면서, 아메리카의 자연에 대한 유럽인이 지닌 식민주의적 욕망과 그 욕망의 실현을 위한 탐색의 의미를 천착할 것이다.
With the Renaissance, philosophers and humanists were keen to establish a worldview based on individual needs and stimulated maritime expansion.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navigators and explorers ushered the Age of Sail with the development of geography, astronomy and navigation, and numerous chronicles were produced entering the Age of the Maritime Discoveries. Chroniclers tried to capture and depict ‘everything’ about America in their writing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rough these chronicles the ‘reality’ captured by the Europeans of that time, as well as their perspectives, evaluations and desires, in regards to said continent. In particular, Christopher Columbus’s Diario de a bordo,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irst chronicle of America, contains the first official ‘interpretation’ of the Americas by Europeans. This paper will examin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Diario de a bordo, how Christopher Columbus observed and understood nature in America and how he reported it to the Spanish royal family, as well as the captured usefulness and value attributed on things of nature therein. In addition, we will examine the colonial desires of the Europeans for the nature of America and the meaning of their search for realizing those des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