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의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간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에 구조적 VAR 모형을 이용하여 실물변수와 금융변수 간의 동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외변수로는 국제유가뿐만 아니라 중국의 실물변수로 산업생산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금융변수로는 통화공급량, 단기이자율, 환율, 주가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국제원유가격의 상승충격은 단기적으로 소비자물가의 상승과 공급의 감소로 산업생산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자율의 상승충격은 기업의 생산을 위축시키고, 단기적으로 주가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해외자본의 유입으로 환율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의 상승충격은 산업생산지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The real economy and the financial economy complement each other to create a complete economic system. Therefore, the dynamic effect between domestic real economy and financial economy is studied by using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SVAR). International oil price variables are introduced into the SVAR model, which plays a dynamic role between output, consumer price index, money supply, short-term interest rate,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 The dynamic effects between the real economy and the financial economy show that both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his paper discusses the two-way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economy and the financial economy, probes into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al economy, and discusses how the financial econom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