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80
216.73.216.80
close menu
KCI 등재
코로나19가 독거노인 삶의 변화에 미치는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VID-19 on the Life Chang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박지현 ( Park Ji-hyun ) , 이미혜 ( Lee Mi-hye )
UCI I410-ECN-0102-2022-000-000938743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독거노인의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삶의 경험적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독거노인의 삶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들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적 실천 방안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코로나19 이전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복지관을 장기간 이용한 독거노인 4명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의 언어를 그대로 기술하고 이를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분석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삶의 변화의 본질적인 내용과 구조를 56개의 중심 의미와 13개의 하위 범주, 4개의 상위 범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독거노인의 일상화된 외로움 속에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혼자’라는 상황이 걸림돌이 되었으며, 이는 답답함과 우울함을 증폭시켰다. 둘째, 홀로 사는 노인에게 건강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며, 스스로의 힘으로 일상생활을 보내며 지탱할 수 있는 필수 요인이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이 일상화되며 노인 디지털 소외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의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mpirical meaning and essence of the liv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are having difficulties due to the outbreak of after COVID-19.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o used a senior welfare center in Gyeonggi-do for a long time before COVID-19. The analysis was done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describe the participants' language as it is and converting it into academic terms. The essential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change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derived into 56 central meanings, 13 sub-categories, and 4 super-categories. Due to COVID-19,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living in the daily loneliness. The situation of being ‘alone’ became a stumbling block when trying to find a way to relieve lonelines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health has a special meaning, and it is an essential factor that allows them to live their daily lives on their own. non-face-to-face communication has become commonplac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resolve digital alienation of the elderl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