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친화정책의 이용 경험 및 이용 만족도와 공무원의 조직몰입: 집단 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Employees: Focusing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mong Groups
그동안 가족친화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거의 구성원들의 개인적 상황이나 집단 간 차이에 대한 고려 없이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획일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가족친화정책의 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혼인상태에 의한 성별 집단(미혼 남성, 미혼 여성, 기혼 남성, 기혼 여성)과 자녀 유무에 의한 성별 집단(무자녀 기혼 남성, 무자녀 기혼 여성, 유자녀 기혼 남성, 유자녀 기혼 여성)으로 분류하여 육아휴직, 직장보육시설, 유연근무 세가지 가족친화정책 이용 경험자들의 조직몰입에 대한 집단 간 차이와 유연근무 이용 만족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집단 간 차이를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장보육시설 이용 경험 집단 간에는 조직몰입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반면, 육아휴직 이용 경험 집단 간에는 조직몰입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보육시설 이용 경험 집단 간 비교에서는 기혼 남성 집단의 조직몰입이 기혼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연근무 이용 경험 집단 간에 조직몰입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상태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기혼 남성 집단의 조직몰입이 가장 높았고, 자녀 유무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무자녀 기혼 남성 집단의 조직몰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유연근무 이용 만족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비교해 보면, 혼인상태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기혼 남성 집단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 반면, 기혼 여성 집단은 가장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 유무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무자녀 기혼 여성 집단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 반면, 유자녀 기혼 여성 집단은 가장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groups by single or married and with or without children of public employees who utilized child care leave, day-care facilities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satisfaction levels of the flexible work arrangemen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se groups. For this study, I utilize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20. In the study, I find three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First,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groups who utilized day-care facilities, there was n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groups who utilized child care leav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groups who utilized flexible work arrangements. Specifically, while married men groups among single or married groups have the highest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ried men groups without children among with or without children groups have the highest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impact of satisfaction level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while married men groups among single or married groups had the strong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ried women groups had the weak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married women groups without children among with or without children groups had the strong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ried women groups with children had the weak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UCI(KEPA)
I410-ECN-0102-2022-000-000938703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행정학
: KCI등재
:
: 연3회
: 1738-1274
: 2713-6701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1-2022
: 678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