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종원 ( Jong-won Lee ) , 윤호근 ( Ho-geun Yun ) , 김동학 ( Dong-hak Kim ) , 송진헌 ( Jin-hun Song ) , 김상준 ( Sang-jun Kim ) , 길희영 ( Hee-young Gil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간행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6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29 (2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퇴모·혈구산의 관속식물상과 강화도 및 주변 지역의 외래식물 등을 파악하여, 조사된 식물들의 체계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퇴모·혈구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101과 321속 517종 13아종 38변종 5품종 573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2.35%로 나타났다. 퇴모·혈구산에서 확인된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청나래고사리 등 68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늦둥굴레 등 10분류군, IUCN 지정 희귀식물은 께묵 등 총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Ⅳ등급은 뚝사초 등 3분류군, Ⅲ등급은 종덩굴 등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개망초, 돼지풀, 망초 등 6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망초, 돼지풀, 망초 3종은 강화도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인 석모도, 교동도 김포 등에도 전방위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가시상추, 가시박, 애기수영 등 생태계교란식물이 퇴모·혈구산에 처음으로 보고되어 퇴모·혈구산 내 특기할만한 식물 등 자생식물에 대해 중장기적인 보전 대책을 수립하고 정기적으로 물리적인 제거 등의 관리방안 대책을 조기에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urveyed the Mt. Teomo·Hyeolgu and surrounding areas in Ganghwa Island, located in Ganghwa-gun, Incheon, to identify vascular flora and alien plant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remarkable plant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13 times from March 2019 to October 2020. The identified vascular flora of Mt.Teomo·Hyeolgu was 101 families, 321 genera, 517 species, 13 subspecies, 38 varieties, 5 forms, and 573 taxa. They accounted for about 12.35% of a total of 4,641 taxa of vascular plants in Korea. The identified Northern lineage plants, endemic plants, and rar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as designated by IUCN were 68 taxa, 10 taxa, and 9 taxa, respectively. 69 taxa were classified as floristic target species. Three taxa, including Maui sedge [Carex thunbergii var. appendiculata (Trautv. & C.A.Mey.) Ohwi] were identified s Class IV and 14 taxa, including Violet Stanavoi clematis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were identified as Class III. The naturalized plants that appeared in the study site were 63 taxa, including daisy fleabane [Erigeron annuus(L.) Pers.],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L.] and Canadian fleabane [Conyza canadensis(L.) Cronquist]. The above three species were found to have spread throughout Ganghwa Island and surrounding areas such as Seokmo Island, Gyodong Island, and Gimpo city. A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like prickly lettuce [Lactuca scariola L.], bur cucumber [Sicyos angulatus L.] and field dock [Rumex acetosella L.] have been newly reported in the Mt. Teomo·Hyeolgu area, mid- to long-term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for native plants, such as remarkable plants, and also management measures like physical removal should be prepared at an early stage.
저자 : 송진헌 ( Jin-heon Song ) , 변경열 ( Kyung-ryul Byun ) , 길희영 ( Hee-young Gil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간행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6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0-55 (2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삼봉산 (282m), 자웅산 (263m) 지역을 중심으로 관속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2개 산지 식물상 조사결과, 94과 271속 383종 11아종 34변종 6품종으로 총 434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10과 24분류군, 나자식물이 2과 8분류군, 쌍자엽식물이 73과 322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8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 키버들, 세잎승마, 개나리, 오동나무, 백운산원추리 5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취약종(VU)은 세잎승마, 왜박주가리, 금붓꽃이 확인되었고, 약관심종(LC)은 쥐방울덩굴, 금강제비꽃, 두루미천남성, 지치, 말나리가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끈끈이대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일본목련, 개소시랑개비, 족제비싸리, 자주개자리, 아까시나무, 토끼풀, 애기땅빈대, 수박풀, 달맞이꽃 등 총 40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434분류군의 9.2%를 차지하였다. 이 지역은 취락시설과 가까운 산지들로서 특기할만한 식물들의 생태적인 보전·방안 및 대책수립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flora survey in the areas of Mt. Sambong (282m) and Mt. Jaung (263m), located in Paju-si, Gyeonggi-do. A total of 434 taxa, including 6 forms, 34 varieties, 11 subspecies, 383 species, 271 genera, and 94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two mountain areas. The ferns were identified as 24 taxa from 10 families, the gymnosperms as 8 taxa from 2 families, the dicotyledonous plants as 322 taxa from 73 families, and the monocotyledonous plants as 80 taxa from 9 families. Five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Cimicifuga heracleifolia,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and Hemerocallis hakuunensi, were identified as the Korean endemic plants. Eight taxa, including Cimicifuga heracleifolia, Tylophora floribunda, and Iris minutiaurea as Vulnerable species, andAristolochia contorta, Viola diamantiaca, Lithospermum erythrorhizon, Lilium distichum, andArisaema heterophyllumas Least Concern species, were designat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40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Silene armeria,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Magnolia obovata, Potentilla supina, Amorpha fruticosa, Medicago sativa,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repens, Euphorbia supina, Hibiscus trionum, and Oenothera biennisaccounting for 9.2 percent of the 434 taxa of the surveyed plants. As this area is a mountainous area close to settlement facilities, it is believed that ecological preservation measures and measures of specialized plants should be implemented.
저자 : 차두원 ( Doo-won Cha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간행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6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6-71 (1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육상곤충상을 파악하여 향후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수행되었다. 전체 출현한 육상곤충 종수는 7목 77과 177종 1,925개체이며 지역별 출현 종수는 내서면 서만2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 내서면 서만1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 외남면 소은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순으로 확인되었다. 경작지 특성상 노린재목, 딱정벌레목이 대상지 전역에 우세하였다. 특이종은 한국고유종 13종, 국가적색목록 취약종 2종·관심대상종 22종·미평가 42종, 생태계교란야생생물 2종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분석 결과 우점종은 큰검정뛰어장님 노린재, 아우점종은 유채좁쌀바구미로 확인되었다. 종다양도는 1.1636-1.6022, 균등도는 0.6748-0.7611, 우점도는 0.2389-0.3252의 범위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uild basic terrestrial insect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persimmon plantations in the Sangju dried persimmon agricultural area. The survey identified terrestrial insect species were 7 orders, 77 families, and 1,925 individuals of 177 species. And the number of species that appeared in each village was in the order of Seoman II Village in Naeseo Township > Seoman I Village in Naeseo Township > Soeun Village in Oenam Township. Hemiptera and Coleoptera predominated throughout the si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ted land. The special species were 13 Korean endemic species, 2 vulnerable (VU) species, 22 least concern (LC) species, 42 not-evaluated (NE) species on the national red list, and 2 species of ecosystem disturbance wildlife.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e Ectmetopterus micantulusas the dominant species and Ceutorhynchus albosuturalisas the subdominant species. The species diversity (H') was 1.1636-1.6022, evenness (J') was 0.6748-0.7611, and dominance (D) was in the range of 0.2389-0.3252.
저자 : 이수동 ( Soo-dong Lee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간행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6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2-86 (1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거제도 학동 일대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조사구는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에 생달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이 우점하거나 출현하는 식생군락 또는 입지환경의 변화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52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 분류 결과, 참식나무-생달나무군락, 생달나무-동백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굴참나무-동백나무군락, 동백나무-생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군락, 굴피나무-예덕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잠재자연식생을 반영한 난대림의 천이계열은 상록침엽수와 낙엽활엽수는 상록활엽수로 이행된다라는 연구 결과를 반영한다면, 곰솔, 굴피나무, 굴참나무 등이 우점하는 군락은 생달나무, 참식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림으로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생달나무, 참식나무, 구실잣밤나무의 세력이 우세한 지역은 인위적인 교란이 없다면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환경요인과 식생분포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토양의 물리적 특성 중 점토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급경사지에 입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외에 토양산도(pH) 5~5.84, 전기전도도 0.047∼0.139dS/m, 유기물함량 3.32∼12.06%로 군락별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낮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distributed in Hak-dong, Geojae island. For a survey, 52 sites were set up in areas with changes in the vegetation community or location environment where Cinnamomum yabunikkei, Neolitsea sericea, and Machilus thunbergii dominated or appeared in the canopy, sub-canopy, or shrub layer.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with TWINSPAN identified the following communities: N. sericea-C. yabunikkei, C. yabunikkei-Camellia japonica, Ca. japonica, Quercus variabilis-Ca. japonica, Pinus thunbergii-Ca. japonica, Castanopsis sieboldii, P. thunbergii, and Platycarya strobilacea-Mallotus japonicus.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succession series of warm-temperate forest reflecting the latent natural vegetation is the transition of conifer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the communities predominated by the communities predominated by the communities predominated by P. thunbergii, Q. variabilis, and Pl. strobilacea are likely to transform into the evergreen forest predominated by N. sericea and C. yabunikkei. The sites where C. yabunikkei, N. sericea, and Castanopsis sieboldii are dominant in the canopy and sub-canopy layers are likely to maintain the status quo if there is no artificial disturb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vegetation distribution showed silt 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it, which was judg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it was located on a steep slope. The soil acidity (pH) was 5-5.84, electrical conductivity 0.047-0.139 dS/m, and organic matter content was 3.32- 12.06%.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y the colony, they were generally low.
저자 : 강현미 ( Hyun-mi Kang ) , 강지우 ( Ji-woo Kang ) , 김지해 ( Ji-hae Kim ) , 성찬용 ( Chan-yong Sung ) , 박석곤 ( Seok-gon Park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간행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6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87-101 (1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변화과정을 장기 모니터링하기 위해 1996년 완도수목원에 설치된 16개 고정조사구(시험구, 대조구)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했다. 특히 1996년도 복원기법으로 도입한 시험처리(솎아베기, 식물도입)가 식생 발달에 미친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교목층에 붉가시나무가 우점한 군락(고정조사구 1∼3)에서는 이 종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줄고, 외부에서 들어온 상록활엽수종의 MIP가 늘어나 장래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림(고정조사구 5, 7), 소나무림(고정조사구 9, 10)에서도 상록활엽수종의 세력 확장이 확인됐다. 솎아베기를 시행했던 시험구에서 조류 피식 산포형인 생달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의 종 유입과 상록활엽수종의 세력확장이 두드러져, 난온대림 식생 발달을 촉진하는데 유효했다고 본다. 시험구에 상록활엽수종을 심어 식생구조 변화를 꾀했지만, 식재 수량이 적어 식생구조 변화에 끼친 영향이 미약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식생유형보다 소나무림은 소나무, 곰솔의 쇠퇴에 따른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식생구조 변화가 뚜렷했다.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16 permanent plots (experimental and control) installed in Wando Arboretum in 1996 to monitor the long-term change proces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Especi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f trial treatment (selection cutting and plant introduction), introduced as a restoration technique in 1996, on vegetation development. In communities dominated by Quercus acuta in the canopy (permanent plots 1 through 3), this species's mean important percentage (MIP) decreased,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as introduced from outside increased, likely to change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future. The expans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group was also confirmed in Q. acuta-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permanent plots 5 and 7) and Pinus densifloraforests (permanent plots 9 and 10). In the experimental plots where thinning was carried out, the zoochory (the dispersal of seeds by birds), Cinnamomum yabunikkei, Neolitsea sericea, Machilus thunbergii, etc., and the expansion of the influence of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ere remarkable, so it is considered to have effectively promoted the vegetation development in warm temperate forests. Although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ere planted in the experimental plot to change vegetation structure, it seems the effect on the change was weak due to the small amount of planting. Compared to other vegetation types, the change in the vegetative structure of the pine forest to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clear due to the decline of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저자 : 장정은 ( Jung-eun Jang ) , 권혜연 ( Hye-yeon Kwon ) , 신해선 ( Hae-seon Shin ) , 이상철 ( Sang-cheol Lee ) , 유병혁 ( Byeong-hyeok Yu ) , 장진 ( Jin Jang ) , 최송현 ( Song-hyun Choi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간행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6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2-111 (1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보호지역 중 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으로 다른 곳에 비해 인간에게 제공되는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립공원의 가치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생태계서비스는 공급, 조절, 문화, 지지의 4가지 서비스로 분류되며, 본 연구에서는 지지서비스 중 서식지질을 평가하였다. 서식지질 평가는 InVEST의 Habitat Quality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 및 국내 보호지역 실정을 반영하여 인자별 민감도 및 서식지질 초기값 계수를 재설정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21개 국립공원의 서식지질을 분석하고 지도화하였다. 서식지질은 0과 1사이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자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서식지질 분석결과 설악산·태백산국립공원(0.90), 지리산·오대산국립공원(0.89), 소백산국립공원(0.8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해안-해상형 국립공원을 제외한 18개 국립공원의 면적과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면적이 넓을수록 전반적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용도지구별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 공원마을지구 순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서식지질 분석과 용도지구별 법적인 규제를 함께 고려하였을 때, 인위적인 행위가 제한될수록 서식지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보호지역 상황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21개 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적확한 수치와 지도화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이 용이하며, 향후 보호지역의 개발 및 보전에 관련한 정책 결정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protected areas, National Parks are rich in biodiversity, and the benefits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to human are higher than the others.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is being used to manage the value of national parks based on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Ecosystem services are classified into four services: supporting, provisioning, regulating and cult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abitat quality among supporting services. Habitat Quality Model of InVEST was used to analyze. The coefficients of sensitivity and habitat initial value were reset by reflecting prior studi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protected areas. Habitat quality of 21 national parks except Hallasan National Park was analyzed and mapped.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was evaluated to be between 0 and 1, and the closer it is to 1, the more natural it is. As a result of habitat quality analysis, Seoraksan and Taebaeksan National Parks (0.90), Jiri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0.89), and Sobaeksan National Park (0.88)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ord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rea and habitat quality of 18 national parks except for coastal-marine national parks, the larger the area, the higher the overall habitat quality. Comparing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of each zone,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park nature preservation zone, the park nature environmental zone, the park cultural heritage zone, and the park village zone. Considering both the analysis of habitat quality and the legal regulations for each zone of use, it is judged that the more artificial acts are restricted, the higher the habitat qu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habitat quality of 21 National Parks by readjusting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protected areas in Korea. It is expected to be easy to intuitively understand through accurate data and mapping, and will be useful in making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protected areas in the future.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