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ap between ES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cusing on the ESG performance indicator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최근 ESG 경영이 주목받으면서 많은 기업들이 ESG 성과 향상을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고, 이러한 기업들의 ESG 성과를 평가하는 제도도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ESG 관련 논의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ESG 평가가 기업의 ESG 활동을 실질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평가 제도를 운용하는 목적은 그 결과가 이후 사업이나 정책 과정에 환류되어 평가 대상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으로, 평가 대상의 실제 성과가 정확하게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ESG 평가제도 중에서 CDP,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서스틴베스트의 평가 제도를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기업의 ESG 실행과 평가 간 괴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ESG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국내 기업들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기업들의 ESG 성과가 실제 기업의 어떤 지표와 연관성을 갖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을 대상으로 한 복수의 ESG 평가 결과 간 상호 이질성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국제와 국내 평가 간 결과의 괴리가 컸다. 또한 ESG 평가는 기업의 환경실적 중 관행적으로 수행되어 온 부문과 연관되어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며, 평가에 대응할 수 있는 기업의 재무역량과도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현재의 ESG 평가 제도들이 기업의 실제 ESG 활동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는 기업 성과 지표에 대한 객관성과 평가 과정의 투명성 측면의 한계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향후 국제적 차원의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 공시 표준 제정이 필요하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recent attention towards ESG management, many companies have been continuing to make efforts to improve ESG performance, and the system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is also diversifying. However, in order to expand the ESG discussion, which has become the core of a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paradigm at an unprecedented pace, an analysis of whether ESG evaluation actually reflects ESG activities per se must be preceded. This is because evaluation system should accurately reflect the targeted performanc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m via feedback generated by the estim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selected three cases of the ESG evaluation system currently being used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domestic compani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categorization. Then it was analyzed whether ESG performance for each company type was related to the actual ESG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possibility of a gap between the company's ESG performance and evaluation cannot be denied. Since the current ESG evaluation system has limitations in terms of objectivity for corporate-performance indicators and transparency in the evalu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information disclosure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Korea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se international efforts.
I410-ECN-0102-2022-300-000945269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8권 1호 |
|
54권 0호 |
|
24권 2호 |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0호 |
|
29권 1호 |
|
21권 1호 |
|
17권 1호 |
|
31권 1호 |
|
36권 1호 |
|
36권 1호 |
|
60권 1호 |
|
36권 1호 |
|
37권 1호 |
한국행정포럼 |
176권 0호 |
|
26권 1호 |
The KAPS |
68권 0호 |
|
31권 1호 |
|
56권 1호 |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Studies |
12권 2호 |
|
24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