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Demand Factors of Korean Companies for the Development of Overseas Industrial Complex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조사설계 및 연구모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 고 문 헌
본 연구는 최근 미얀마, 베트남, 러시아 등에서 개발이 진행중인 한국형 해외산업단지 개발이 성공하기 위한 기업수요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입지결정 요인을 고찰하고,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주요 변수들을 재범주화하여, 6가지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지 ①국가의 사회ㆍ경제적 환경 요인, ②현지 국가의 제도ㆍ규제 환경 요인, ③현지 국가의 생산 요소, ④산업단지의 인프라 요인, ⑤기업지원 서비스 요인, ⑥현지 파트너십 요인 등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해외진출 경험이 있는 국내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요요인과 기대성과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지 파트너십 요인’과 ‘현지 국가의 제도ㆍ규제 환경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나, 다른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팀 코리아’의 협력체계 강화, 둘째, 특별경제구역 등 해외산업단지의 현지국가 위상 제고, 셋째, 잠재적 국내기업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개발 추진, 넷째, 경제적 성과 제고를 위한 앵커 기업(업종) 발굴, 다섯째, 해외산업단지 개발 고도화 및 노하우 축적을 위한 연구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of corporate demand for the succes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overseas industrial complexes, which have recently been under development in Myanmar, Vietnam, and Russia. To this end, six factors were derived by considering the determining factors for the location of an entity's direct investment abroad and re-categorizing the key variables discussed in the preceding study. Specifically, lo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local system and regulatory environmental factors, local production factors, industrial complex infrastructure factors, corporate support services factors, and local partnership factors. For empirical analysis, the impact between demand factors and expectations was analyzed for domestic companies with experience in overseas expansion.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mpact relationships between "local partnership factors" and "local country's institutional and regulatory environmental factors," but other factors showed no impact relationship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government proposed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system of Team Korea, enhancing the status of foreign industrial complexes, and developing customized development considering potential domestic business demand, finding anchor companies.
I410-ECN-0102-2022-300-00094521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8권 1호 |
|
54권 0호 |
|
24권 2호 |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0호 |
|
29권 1호 |
|
21권 1호 |
|
17권 1호 |
|
31권 1호 |
|
36권 1호 |
|
36권 1호 |
|
60권 1호 |
|
36권 1호 |
|
37권 1호 |
한국행정포럼 |
176권 0호 |
|
26권 1호 |
The KAPS |
68권 0호 |
|
31권 1호 |
|
56권 1호 |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Studies |
12권 2호 |
|
24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