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검색어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
논문 상세보기
홈한국경제교육학회>경제교육연구>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초·중·고등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연구 문항 양호도 및 추측에 따른 응답 특성 분석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초·중·고등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연구 문항 양호도 및 추측에 따른 응답 특성 분석
Analysis of Goodness and Response Characteristics by Guessing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conomic Literacy Survey Using Item Response Theory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의 위탁으로 한국개발연구원이 2020년 11월에 조사한 초·중·고등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3-모수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추측도를 추정하였다. 각 학교급에서 추측도가 가장 높은 문항을 선별하여 추측도는 높으면서 어려운 문항, 추측도는 높지만 쉬운 문항을 골라 명명반응모형을 적용하여 학생의 능력수준에 따라 어떤 선택지에 응답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검사이론 분석 결과 도출된 난이도와 변별도, 3-모수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문항 양호도 추정에서 심각하게 문제 되는 문항은 없었다. 둘째, 추측도가 25% 이상인 문항은 초등학교 4문항, 중학교 2문항, 고등학교 3문항이었다. 셋째, 추측도가 높은 문항 중 초등학교의 '합리적 선택', 중학교의 '물가'의 경우 교과과정 성취기준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상위권 학생의 정답률은 높지만 하위권 학생들의 추측이 높은 문항 예컨대 중학교에서의 ‘합리적 선택’, 고등학교의 ‘기회비용’과 ‘비교우위’의 경우 하위권 학생들이 특히 어렵게 느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교과서와 수업에서 쉽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stimated the difficulty, discrimination, and guessing of items from the economic literacy data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rveyed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in November 2020, applying the 3-parameter item response theory. In each school level, the items with the highest degree of guessing were selected, the items with high guessing and difficulty and the items with high guessing but easy. The study analyzed which option was answered according to the student's ability level.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erious problems in estimating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nd the goodness of the items. Second, the items with guessing of more than 25% were 4 items in elementary school, 2 in middle, and 3 in high school. Third, among the items with high guessing, some of the contents, such as "rational choice" of elementary school and “price” of middle school, were not covered by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Fourth, in the case of items with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high level students but with high guessing by low-level students, low-level students are likely to have difficulty around some of the concepts. Thus, it is necessary to deal the concepts, such as rational choice, opportunity cost and comparative advantage, more easily in textbooks or classes.
UCI(KEPA)
I410-ECN-0102-2022-300-000951941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경제학
: KCI등재
:
: 연3회
: 1226-7805
: 2713-5187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6-2022
: 409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