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소희 ( Kim So-hee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14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학스포츠 팀 지도자의 진성리더십과 학생선수의 리더만족, 그리고 그들의 심리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북 지역의 대학교 328명의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가설 및 모형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대학스포츠 팀 지도자의 진성리더십은 학생선수의 리더만족과 그들의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선수의 리더만족은 그들의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해 대학스포츠 팀 지도자의 진성리더십 발휘는 학생선수의 리더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심리적 행복감에도 유의한 관계성을 밝혀 새로운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uthentic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sport leaders, athletes' satisfaction toward the lead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 athlete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buk regions. The data of total 328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authentic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sport lead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 athletes' satisfaction toward the lead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student athletes' satisfaction toward the lead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will contribute to clarifying a new structural relationships by reveal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s not only in the student athletes' attitude toward the leaders but also i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저자 : 민두식 ( Min Doo-sik ) , 이완영 ( Lee Wan-young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5-31 (17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코로나19 감염병의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화로 아웃도어스포츠 참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부상위험이 높음에도 로드자전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로드자전거 동호인의 특징과 함께 그들이 왜 로드자전거 라이딩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지에 대해 플로우(flow) 경험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다차원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플로우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모색하고 이를 통해 이론적용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플로우의 구성개념 중 6개의 요인을 선행변수(도전감, 기술숙련도, 상호작용, 주의집중)와 관련변수(즐거움, 시간왜곡)로 선정하고 최종적으로 지속참여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였다. 플로우 경험의 인과모델과 지속참여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로드자전거 대회를 방문한 동호인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337부의 유효표본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315부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도전감, 기술숙련도, 상호작용은 즐거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나타났다. 둘째 도전감, 기술숙련도, 상호작용, 주의집중은 시간왜곡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즐거움과 시간왜곡은 지속참여의도의 유의한 선행요인임이 규명되었다. 결론: 로드자전거 동호인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이유는 라이딩을 통한 즐거움과 시간왜곡이라는 플로우 상태를 경험하기 위함이며, 최적의 플로우 경험을 위해 능숙하게 자전거를 다루는 기술과 이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도전감, 라이딩 동료와의 상호작용, 도로상황을 살피며 라이딩에 몰두하는 주의집중이 무엇보다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Purpose: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utdoor participa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social distancing rules. In particular, road cycling has been gaining popularity despite the high risk of injury.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oad cycling club membe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applying the flow experience theo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club members who visited the venue of road cycling competition. 315 samples were utiliz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at (1) challenge, skill and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fulness, (2) challenge, skill, interactivity and focused attention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time distortion, and (3) playfulness and time distortion were found to affect behavioral intention. Conclusion: The reason why road cycling members continue to engage in the recreational activity is to pursue the flow state such as playfulness and time distortion. Furthermore, in order to attain the optimal flow experience, challenge, skill, interactivity and focused attention are required for road cycling participants.
저자 : 조형선 ( Cho Hyung-sun ) , 이유진 ( Lee Yu-jin ) , 황선환 ( Hwang Sun-hwa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2-46 (1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라켓스포츠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진지한 여가 편익과 여가 비용, 그리고 편익과 비용의 크기 값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긍정적 이익과 부정적 결과의 양상을 검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21년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라켓스포츠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할당표집방법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6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7.0, AMOS 27.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진지한 여가 편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진지한 여가 비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높아질수록 진지한 여가 편익과 비용의 편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라켓스포츠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높아질수록 부정적인 여가 비용을 수반하면서도 긍정적 보상을 얻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attern of positive outcomes and negative results by understanding how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affects serious leisure benefits and leisure cos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benefits and cost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participants in racquet spor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2021, and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quota sampling method, and a total of 56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es, SPSS 27.0 and AMOS 27.0 programs were us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erious leisure benefi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rious leisure costs. Third, it was found that as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serious leisure benefits and costs increased.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the more positive rewards were obtained while accompanying negative leisure outcomes.
저자 : 왕박유 ( Wang Pu-yu ) , 임진선 ( Lim Jin-sun ) , 박지원 ( Park Ji-wo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7-64 (18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교수의 리더십 유형과 교수-학생 간 상화작용이 수업몰입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교양체육의 의의를 살펴볼 수 있고, 교양체육의 교육 강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무작위 추출법 통해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 랴오닝, 허베이, 허난 등 지역에서 할당 표본추출법 활용하여 도시 내 대학의 교수 10인을 통해 806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6.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다중 회귀 분석 등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징, 교수의 리더십,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은 여대생의 수업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양체육에 참가한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징, 교수리더십유형과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능력은 여대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교양체육은 스포츠 교육에서 중요한 영역이며, 중국 여대생들에게 중요한 활동이다. 따라서 중국 여대생들을 위해 교양체육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줄 필요가 있고, 중국 내 교양체육 수업이 평생 여가스포츠로서의 역할과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활동임을 인지해야 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rofessor leadership type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ffect class immers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ina. Such approach allows examination on the significance of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and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trengthening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Methods: In this study, 806 units of data were obtained by 10 professors from universities in cities using quota sampling method in regions such as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Liaoning, Hebei, and Henan, China, through a random sampling method.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SPSS 26.0 and AMOS 20.0 to derive the study results. Result: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professor leadership,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emale college students' class immersion.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teaching leadership style,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female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iscussio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is an important area in sports education and is an important activity for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aise awareness on the effectiveness of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its role as a lifetime leisure sports, and its capacity to improve creativity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저자 : 장정의 ( Zhang Jing-yi ) , 김광만 ( Kim Kwang-man ) , 박진경 ( Park Jin-kyung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65-80 (1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올림픽 성적이 뛰어난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여성주의 이론과 사회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올림픽이 중국 여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를 포함한 문헌 고찰과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첫째, 여성해방운동으로서의 올림픽 둘째, 여성문제에 대한 새로운 쟁점 유도 셋째, 올림픽을 통한 여성의 사회 지위 변화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여성해방운동으로서의 올림픽은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거리를 좁히는 매개체로 인정되었다. 그 과정에서는 국제여성스포츠연합회 창단, 여성 올림픽 개최 그리고 올림픽에서 이룩한 성과 등은 중국 여성 스포츠의 오늘을 있게 한 원천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미디어와 기업의 개입으로 여성문제에 대한 새로운 쟁점이 대두되었다. 여성의 경제이익을 위한 지나친 노출과 도핑문제 등. 올림픽에서 불평등 문제는 역사적 산물이라는 기능주의 학자 의견과 올림픽에서 남성계급의 통치와 억압을 반드시 사로잡아야 한다는 갈등주의 학자들의 의견이 또 다시 쟁점이 되고 있다. 마르크스웹의 '3분법', 즉 자산. 수입, 명성 등으로 올림픽을 통한 여성의 사회지위 변화를 고찰한 결과, 여성이 올림픽에서 이룩한 성과로 매체 등장을 통한 수입이 증가하였고, 사회의 권력과 자원은 여성 선수에게로 이동하여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상승시켰다.
Purpose: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social status of Chinese women with excellent Olympic performance, the impact of the Olympics on Chinese women was examined based on feminism and sociological theories. Methods: This study conducts literature research including previous studies and analyzes the existing documents. Conclusion: First, the Olympics as a women's liberation movement; Women established their position in the sports world with their own power and even affected women's right to vote, sanctioning men's monopoly. Second, a new issue on women's issues; functionalism argued that the issue of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Olympics should be a historical outcome, and that conflict theory should capture the rule of the male class in the Olympics. Third, changes in women's social status through the Olympics; Special material and policy resources such as salary, urban family register, prize money, and advertising model changed women's social status when participating in the Olympics.
저자 : 신미애 ( Shin Mi-ae ) , 박영만 ( Park Young-ma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81-94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메가스포츠이벤트 선수단 안전관리를 위한 신변보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민간경비에서의 신변보호에 대한 안전관리 지식체 형성에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논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목적표집법에 의한 10년 이상의 경력자 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하였다. 결과: 첫째, 메가스포츠이벤트에서의 신변보호는 다른 민간경비 영역에서의 보안 중 개인적인 전문성과 자질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신변보호요원에 대한 업무능력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메가스포츠이벤트에서의 신변보호 업무에 대한 범위의 명확성과 업무에 대한 차별성을 갖기 위해서는 신변보호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매뉴얼을 통하여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소속감을 갖게 해야 한다. 셋째, 메가스포츠이벤트에서의 신변보호요원에 대한 인력의 활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급여 및 복지 등의 처우개선은 물론 체계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주최측의 직접적인 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결론: 메가스포츠이벤트에서의 성공적인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신변보호 업무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과 체계적인 관리와 안전관리 매뉴얼의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aims at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to form a body of knowledge for safety management for personal protection in private management by suggesting an improvement plan for personal protection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mega sports event teams. Methods: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in-depth interview technique with 6 people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using the objective sampling method. Result: First, since personal protection in mega sports events requires personal expertise and qualifications among security in other private security area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work ability for practical and systematic personal protection personnel in the field. Second, in order to have the clarity of the scope of the personal protection work in the mega sports event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work, it is necessary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elonging to the work through a systematic manual for the personal protection work. Third, for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personnel for personal protection personnel in mega sports ev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irect management of the organizer for systematic organizational management as well as improvement of treatment such as salary and welfare. Conclusion: For successful safety management in mega sports ev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 protection, systematic 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safety management manuals are required.
저자 : 박병주 ( Park Byung-joo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95-107 (1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우리사회는 치안서비스를 담당하는 새로운 직업군으로 탐정 제도를 도입하고자 한다. 2020년 8월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따라 탐정의 명칭으로 영리활동이 가능한 현 시점에서 탐정의 업무는 구체화되지 않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탐정의 업무가 제시될 필요성에 따라 탐정 관련 전공 서적과 대학의 탐정학과 교육과정 그리고 탐정 관련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하여 탐정의 업무 범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탐정 관련 전공 서적, 탐정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탐정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실종아동의 찾기와 보험범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탐정의 업무에 있어서 실종아동 찾기, 보험범죄 등의 업무가 중요시 되며, 탐정 업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탐정의 전문 자격화 방안이 필요하다. 탐정의 자격화 방안은 1차 시허과 2차 시험으로 구분하여 1차 시험에는 「헌법」, 「개인정보 보호법」 그리고 탐정이론 과목으로는 「탐정학개론」으로 구성하여 탐정 관련 법률과 이론의조화가 이룰 필요가 있다. 2차 시험으로는 일반 탐정의 경우, '정보수집활동', '탐문 및 감시', '실종아동의 소재확인' 등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과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Our society wants to introduce the detective system as a new occupational group in charge of the security service.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in August 2020, the detective's work has not been materialized at the present time, where profit-making activities are possible under the name of a detective. Methods: Therefor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presenting the work of a detective, the scope of the detective's work was set through the detective-related major books, the curriculum of the detective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and the interview with the detective-related experts.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earch for missing children and insurance crimes were the most appropriate for a detective's job. Conclusion: Based on this, a way to qualify general detectives and insurance detectives in the work of detectives was suggested. The detective system is now the first step, and the work of a detective should be recognized as a certified detective by the public throug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저자 : 최병윤 ( Choi Byung-yu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8-130 (2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취약계층 중 장애인이 인식하는 취약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서 새롭게 개발한 사회재난에 대한 취약성 척도의 구성 예비문항을 관련 분야의 8인의 전문가에게 문항의 구성과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를 받고, 문항을 선별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설문지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는 500명의 장애인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404개의 데이터 표본을 확보할 수 있었다. 예비조사와 본조사에 걸쳐서 요인분석을 2회 실시하였다. 결과: 재난취약성을 구성하는 노출도-민감도-적응능력의 세 가지 영역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노출도 영역은 주관적 노출도의 단일 구성 요인으로, 민감도 영역은 감각민감도, 동작제약도, 표현전달도의 세 가지 구성 요인으로, 적응능력 영역은 안전지식, 조력지원, 사회관계의 세 가지 구성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재난취약계층 중 장애인의 재난취약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최초의 연구이며, 추후 후속 연구들을 통해서 장애인 표본을 통한 신뢰도와 타당도의 지속적인 검증·향상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degree of vulnerability perceived by the disabled among the disaster-vulnerable class.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newly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s for the composition of the vulnerability scale to social disasters were reviewed by 8 experts in the related field to review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questions, and the questions were selected and prepared a questionnaire. With this questionnaire, 500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eoul were surveyed and valid 404 data samples were obtain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wice during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Result: The structure of the three domains of exposure-sensitivity-adaptability constituting disaster vulnerabil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s three constituent factors, the adaptive capacity domain was named as the three constituent factors of safety knowledge, assistance support, and social relations.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develop a disaster vulnerability scale for the disabled among the disaster-vulnerable class,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verify and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sabled sample through subsequent studies.
저자 : 백경민 ( Baek Kyung-mi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31-142 (1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국가 주도적으로 운영되었던 공산주의 체제에서 개방적인 시장자본주의 체제로 이행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독립과 자율성, 그리고 투명성이 보장되는 신뢰가능한 지배구조로 대변되는 서구식 대학조직의 논리가 어떻게 중앙아시아 교육 시장에 적용되고 이식되는지를 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중앙아시아 국가 중 카자흐스탄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대학이 공산주의 국가통제에서 자율적인 자치 기구로 변화해가는지에 대한 역사적 경로를 살펴볼 것이다. 결과: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 정부가 전 세계 차원에서 강화되는 제도적 영향력에 조응하기 위해 대학들이 자율성을 갖도록 유도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 중앙아시아는 체제 전환 이후 국가의 규제와 간섭을 줄이고 시장이 우위를 점하는 시장자본주의 체제로 이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그 이행 방식이 국가 주도적이라는 모순 하에 놓여 있다. 이러한 모순은 시장자본주의 체제로의 전환과 작동이 서구 자본주의 사회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명제에 의구심을 가지게 할 것이다.
Purpose: A variety of changes has emerged as Central Asian countries has begun to transit from a state-led communist system to an liberal market on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organizational logic of a Western-style university, represented by institutional independence and autonomy, is transplanted to the Central Asian education market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Metho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se of Kazakhstan among Central Asian countrie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path of how universities become autonomous institutions. Result: The case suggests that Kazakhstan governments encourage universities to have autonomy to correspond to requirements of global institutions. Conclusion: Central Asia has bee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a liberal market system that reduces state regulation and interference. However, this paper finds that the process is still under state-led regulation and control. This contradiction raises doubts about the proposition that the university operation is in the same way as the ones in Western capitalist system.
저자 : 한그루 ( Han Gru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43-167 (2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정책이 지구적으로 확산되는 매커니즘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유독 대리학습(vicarious learning)에 대해서는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책도입시에 해당 정책을 도입했던 타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는 현실이 반영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책결정자들이 다른 국가들이 특정 정책을 도입한 이후 나타나는 결과로부터 정책을 학습하는 과정을 연구한다. 연구방법: 90년대부터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한 반독점법과 인수합병법을 주제로, 국가간 연결망과 과거의 경제 지표를 시계열로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 국가들이 어떻게 대리학습을 하는지 살펴본다. 결과: 연결망에 반독점법이나 인수합병법을 도입한 이후 경제지표가 개선된 동료 국가를 많이 갖고 있는 나라는 해당 법을 도입할 확률이 커진다. 반면, 경제지표가 악화된 국가의 정보는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정책결정자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이론이나 인식틀과 부합하는 정보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선택적인 학습이 관찰되었다.
Purpose: This research explores a mechanism of policy diffusion: vicarious learning. This particular mechanism of policy diffusion has not been studied enough despite that, when policymakers consider adopting a policy, they try to assess its effectiveness from the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that adopted the same policy. This study tests if countries adopt policies based on countless observations of the consequences of the policy in other countries that they are connected through intergovernmental networks. Methods: For this test, this study analyzes original data on antitrust and merger laws that rapidly spread through developing countries during the 1990s and 2000s. Results: Countries have a greater chance of adopting such laws when their network peers enjoy improved economic performances following the adoption of the same laws. However, when their network peers have negative economic performances following the adoption of the laws, countries are not affected by their peers. Conclusion: This research finds potential evidence of selective learning processes that policymakers only consider evidence that conforms to their existing beliefs and ignore evidence contradicting them.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