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xiety and Hope for Career Viewed by Pre-service hildcare Teachers
10.36431/JPE.13.4.7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진로에 대한 불안과 희망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한 4년제 아동학과 2학년인 예비보육교사들 21명의 저널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진로에 대한 불안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불안부터 자신을 불안하게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에서 경험되었다. 그들이 나아가려는 진로는 경험해보지 않아 알 수 없는 막막함으로 느껴졌고, 고된 일이 되어질 것이라는 불안, 흔들리는 보육교사의 인권과 편향된 관점에 대한 불안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러한 불안 속에서도 진로에 대한 희망을 느끼고 있었는데, 불안한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는 것, 위기는 곧 기회가 되어진다는 것,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는 것, 나 자신을 믿고 새로운 ‘나’ 되어가기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불안에 대한 또다른 관점과 행위주체성을 가진 나와 세계에 대해 조명해보았고 희망은 현재와 미래의 대화과정 속에서 이해해야 하며 예비보육교사에게 사회적 지지체계가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의 진로에 대한 불안과 희망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봄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nxiety and hopes for the career prospectiv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viewed. For this purpose, journals of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xiety on care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tart from their selves, and it is experienced from the view of others that see them in a uneasy way. The career they intend to take is unexperienced and so it feels like an unknown path, and they have anxiety about work becoming hard, and anxiety on the human rights and biased perspective on childcare teachers that have been wavering. But amidst such anxieties, they feel a sense of hope about their careers, and they are that feeling anxiety is a natural process, crisis will turn into opportunity, that it is a job they enjoy, and that they will become a new ‘me’ and trust in themselves.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other perspectives on anxiety and the self with the behavioral identity, as well as the world were examined. Hope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dialog the present and future and the need for social support systems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ere examined. By listening to the vivid voices on anxiety and hop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bout their career path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m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social support system.
I410-ECN-0102-2022-000-000969193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15권 1호 |
현대교육연구 |
34권 1호 |
|
24권 2호 |
|
25권 1호 |
|
43권 2호 |
|
16권 2호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8권 3호 |
|
61권 2호 |
|
5권 1호 |
|
42권 3호 |
|
15권 2호 |
|
29권 2호 |
|
35권 2호 |
|
21권 2호 |
청소년과 효문화 |
38권 0호 |
|
69권 0호 |
|
29권 2호 |
|
31권 2호 |
|
73권 0호 |
|
28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