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hared Play Activities of Mothers and Fathers on Children’s Happ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10.36431/JPE.13.4.1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 활동 참여 및 아동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연구의 8차 연도 1,423가구의 자료를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척도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놀이 활동 참여 양상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와의 놀이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놀이 활동 참여 정도가 달랐다. 둘째, 아동 성별의 영향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놀이 활동 참여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였지만, 아버지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 활동 참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지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hared play activities of mothers and fathers o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children. The study used data from 1,423 households from 8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t-test, paired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t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shared play activities with children than fathers. The level of shared play activities of mothers and fathers were also varied by children’s gender. Secondly, the shared play activities of parents significantly related higher self-esteem of children when the effect of children’s gender was controlled. Thirdly, children’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play activities of mothers and fathers and happiness of children. These results provided supporting evidences to parents and policy mak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support practices to enhance children’s happiness.
I410-ECN-0102-2022-000-000969133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73권 0호 |
|
28권 2호 |
|
13권 2호 |
|
23권 1호 |
|
65권 2호 |
|
16권 2호 |
|
22권 4호 |
|
19권 4호 |
|
26권 1호 |
|
64권 0호 |
|
25권 2호 |
|
34권 1호 |
|
23권 2호 |
|
12권 3호 |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
3권 1호 |
|
61권 1호 |
|
77권 0호 |
|
38권 1호 |
|
82권 0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