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노이균 ( No Yi-kyun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11 (1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는 대중 전달 매체 속에 나타난 여러 감정들에 의해 인간이 아닌 동물이 어떻게 나타나고 인간의 대리자로 동물이 등장 인물로 사용되는 인간 중심의 문화 가운데 나타난 특이한 전통에 대해 알아본다. 모순되지만, 동물 등장 인물이 인간 중심의 감정을 공고히 해주는 사이, 대중 전달 매체 역시 동물 친화적 가치와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을 품고 있다. 동물이 극중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인간 감정을 사고하기 위해 동물이 인간 중심의 문화 전통 속에서 사용되는 한 가지 방법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논문에서는 살아 있는 동물을 무대 위에 올리는 것이 인간 중심의 감정에 해가 되는지 아니면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고 무대 위에서의 이러한 행위가 다른 동물들에 대한 윤리적 관심을 지지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This article outlines how nonhuman animals are framed by the emotions of mass media and considers a distinctive tradition in the anthropocentric culture of enacting animal characters who function as surrogate hum ans. It argues that, contradictorily, while animal characters confirm anthropocentric emotionalism, mass media also contain pro-animal values and concern for animal welfare. Animal embodying emotions in theatrical languages are part of the way animals are used in the traditions of anthropocentric culture to think and philosophize with human feelings, and so they also indicate thinking about the emotions in mass media. The article considers if, however, staging living animals can challenge or utilize anthropocentric emotionalism and whether such practices can support the ethical effort to draw attention to other animal species.
저자 : 이영화 ( Lee Young Hwa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2-22 (1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최근 포털사이트의 스페셜 로고는 사이트의 아이덴티티를 확장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이버에 나타난 국경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네이버 2012년에서 2020년까지의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제헌절, 한글날 스페셜 로고를 선정하였고 국경일 연도별 시각적 구성 요소를 조사하고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특성은 정체성, 정보성, 역사성, 일관성, 가변성의 평가요소로 구분하여 사용자 조사를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시각적 구성 요소에서 형태는 조합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색채는 네이버 녹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하였으며, 보조색은 사용된 그래픽 요소에 맞는 다양한 색상이 활용되었다. 그래픽은 한글날을 제외한 다른 국경일은 공통으로 태극기와 무궁화를 주로 사용하였다. 애니메이션은 국경일별로 디자인에 맞게 진행하였다. 둘째, 디자인적 특성에서 정체성은 과거의 기억을 위한 확실한 특징으로 이미지를 형성한 것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정보성과 역사성 또한 사실적 정보를 표현하고 역사를 근거로 표현된 것이 사용자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반면 일관성은 기업의 아이덴티티와 국경일의 핵심 요소들이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가변성의 경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것에서 선호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사용자가 포털사이트의 스페셜 로고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포털사이트의 특징인 정보이다. 포털사이트의 아이덴티티를 통해 사용자는 정확한 정보를 원하며 그것은 포털사이트의 일관성 있는 이미지 구축에 가장 필요한 도구라 보여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네이버 국경일에 나타난 스페셜 로고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론에 관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A portal's special logo on an has been used for expanding its identity. This study analyzed Naver on national holidays. This study chose its flexible identities on Independence Movement Day, Constitution Day, National Liberation Day, National Foundation Day, and Hangeul Day from 2012 through 2020, investigated their visual components by year and analyzed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The design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evaluation elements, including identity, informativeness, historicity, consistency, and variability to analyze images through a user survey. As a result, first, most forms of visual components were combination. Naver green was used as dominant color, and various colors were utilized as assistance color for the graphic elements. Graphics of Taegeukgi and Mugunghwa were used for all national holidays except for Hangeul Day. Animations were used for each design. Second, in design characteristics, there was high preference for identity in the formation of an image with the memories and clear characteristics; for informativeness and historicity, in the expressions of the factual information based on the history; in contrast, for consistency, in the consistent maintenance of the company's identity and the national holiday's key elements; and for variability, in the utilization of animation. What users would get through the portal's special logo is the information that characterizes it. Users want accurate information through its identity, which is the most necessary tool for constructing its consistent image. Hopefully, this study would be the baseline data for the methodology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Naver's special logo on national holidays.
저자 : 이은주 ( Lee Eun Joo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3-32 (1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아동 성폭력은 현실의 사회문제이지만 그림책의 주제로 다루기 민감하고 어려운 주제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 성폭력을 다루는 그림책의 표지 이미지에 나타난 시각적 특성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그림책 표지 사례의 시각적 요소 분석과 기호학적 분석을 적용하여 시각적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작은 동물, 자연물 등 아동의 심리적, 육체적 상처를 상징화하는 요소의 활용이 두드러졌다. 둘째, 배경은 집, 둥지 안, 물 속 등 내부 공간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셋째, 어두운 배경 색채의 강조, 명도 대비 등을 통해 아동의 내면과 외면, 현실과 이상을 강조하였다. 넷째, 선의 두께, 질감 표현은 아동의 심리를 재현하는 요소로 활용되었다. 다섯째, 레이아웃에서 표지 공간을 이항대립으로 배치하여 주제를 강조하였다. 여섯째, 방향성은 사선, 수직선 등 불안정하거나 강한 방향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제목은 주로 그림의 상단 부분에 크게 강조되어 색채나 크기, 배열에 따라 부정적인 의미를 더욱 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성폭력을 다루는 그림책 표지텍스트는 상징적 형상, 색채, 앞뒤페이지의 대립적 구도 및 레이아웃을 활용하여 아동의 심리적, 육체적 상흔과 주제의식을 전달하고 있었다. 또한 글 텍스트는 크기와 색채, 표현에 있어서 그림텍스트가 내포하는 의미를 강하게 고정하며 문제적 상황을 확장하는 특성과 의미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성폭력을 다루는 그림책 표지텍스트는 상징적 형상, 색채, 앞뒤페이지의 대립적 구도 및 레이아웃을 활용하여 아동의 심리적, 육체적 상흔과 주제의식을 전달하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shown in cover images of picture books handling the child sexual violence.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this study understood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y applying the visual element analysis and semiotic analysis on the cases of picture book cov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remarkable to use the elements that symbolized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wounds of children such as small animal and natural object. Second, the background mostly concentrated on the interior space such as house, inside nest, and inside the water. Third, the inner side and external side, and the reality and ideal of children were emphasized through the brightness contrast and color emphasis of dark background. Fourth, the psychology of children was represented by expressing the thickness and texture of lines. Fifth, the theme was emphasized by arranging the cover space of layout in the binary opposition. Sixth, the unstable or strong direction such as diagonal line and vertical line was shown. Seventh, the title was largely emphasized on top part of picture, which fixed the negative meaning more according to color, size, or arrangement. In this study, the cover texts of picture books handling the child sexual abuse were delivering children's psychological/physical wounds and thematic consciousness by utilizing the symbolic form, color, and oppositive composition/layout of front and back pages. Also, the written tex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xpanding the problematic situation by strongly fixing the meaning implied by the picture texts in the aspect of size, color, and expression.
저자 : 홍영일 ( Hong Young Il ) , 임선경 ( Yim Sun Kyung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3-41 (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이모티콘은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소통의 도구로써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에서 고객과 기업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관계마케팅 측면에서도 활성화되고 있다. 이모티콘은 메시지와 감정표현 전달을 위한 시각적 표현으로서 최근에는 표정형태와 행동형태를 넘어 상황형태의 표현유형까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따른 다양한 변인을 폭넓게 규명한 연구는 아직도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표현 유형인 멈춰있는 이모티콘, 움직이는 이모티콘, 소리나는 이모티콘, 큰 이모티콘이 사용자 만족요인의 중요 변수인 심미성, 유희성, 명확성, 유용성, 동질성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 간 요인설계를 통해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심미성과 명확성은 움직이는 이모티콘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움직이는 이모티콘이 매력적이고 편안하며 시각적 몰입감을 높이는 동시에 핵심 내용도 분명하게 전달되고 명확하게 인식되는 이모티콘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유희성과 유용성, 동질성은 큰 이모티콘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큰 이모티콘이 재미와 즐거움, 흥미로움을 제공하고 의사전달과 감정 전달에 효율적이며 사용자와 같은 생각을 공유함은 물론 사용자처럼 사람을 대하는데 적절한 이모티콘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이모티콘 이론의 외연을 확장하고 이모티콘 표현유형 전략 수립의 실증적 연구라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modern times, emoticon is playing significant role as a communicative means connecting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emoticon is activated in aspects of relationship marketing that profitable both to customers and companies in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Emoticon is a visual expression for delivery of message and emotions and nowadays, not only facial and behavior expression but also expression type of situation forms are developed. However, study that widely examine various factors according to emoticon's expression type is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moticon's expression types including stationary emoticon, moving emoticon, sounding emoticon, big emotion to aesthetic, enjoyment, clarity, usability, and similarity which are important variables of users' satisfaction by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aesthetic and clarity are highly appeared in moving emoticon and this is explaining that moving emoticon is attractive, comfortable, and increase visual immersion, delivering key points clearly and distinctly recognized emoticon. Meanwhile, enjoyment, usability, and similarity are highly appeared in big emoticon and this result means big emoticon provides joy, excitement, and interest, effectively deliver intention and emotion, sharing same thinkings of users, and also a proper emoticon to deal with person like us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extension of emoticon theory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in empirical research of emoticon expression types' strategy establishment.
저자 : 김미옥 ( Kim Mi Ok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2-52 (1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영화에 등장하는 어린 병사들은 전쟁 끝날 무렵에 점점 줄어드는 군인들의 숫자를 보충하기 위해 징집된 독일 청소년들이다. 잔드레 감독의 영화에서 구성된 영화적 공간은 등장인물들에 의해 자의적으로 선택된 곳이 아니다. 그 공간은 타의적으로 규정된 배타적 차별공간이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랜드 오브 마인>을 고찰하는 이유는 영상 미학적인 성취를 이룬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는 독일 소년병 포로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영화는 적과 아군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다. 국가의 부름으로 어쩔 수 없이 전쟁터에 강제 차출되어 포로가 된 독일 소년들과 그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덴마크 군인들의 이야기가 이 영화의 주제이다. 영화 제목이 <랜드 오브 마인> 인 것처럼 이 영화의 주인공은 공간이다. 영화의 공간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아이러니한 공간이란 점에서 그 독특함이 있다. 열 네명의 독일 포로병들이 위치한 광활한 백사장과 언덕들은 겉보기에는 무인 지대의 빈 공간이다. 그러나 이 빈 공간은 바로 언덕 너머로 일상의 평화로운 모습과 병치 되고 삶과 죽음, 평화와 전쟁이 공존하는 전쟁터의 아이러니를 드러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The young soldiers in the movie are German teenagers who were recruited to supplement the soldiers who are gradually decreasing in number at the end of war. The cinematic space that is composed of the movie < Land of mine > is not arbitrarily selected by the characters. The space is an exclusively differentiated space that is arbitrarily defined. The reason for considering < Land of mine > based on a true story is that it is a work that has achieved visual aesthetic achievement. The movie is centered on German prisoners of juvenile soldiers. This film does not clearly define enemies and allies. The theme of this film is the story of German boys forced to be sent to war due to the call of the state and Danish soldiers who are driving them to death. Just as the movie title is < Land of mine >, the main character of this movie is space. The movie space is unique in that it is not just a space, but an ironic space. The vast sandy beaches and hills, where 14 German prisoners are located, are seemingly empty spaces in the uninhabited area.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is empty space is juxtaposed with the peaceful appearance of everyday life and the irony of the battlefield where life and death, peace and war coexist right over the hill.
저자 : 김채윤 ( Kim Chae Yun ) , 박명선 ( Park Myung Sun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3-66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한국 대중음악은 사회현상과 과학기술의 변화에 따라 진화를 거듭하여 발전해 왔고 이제는 음악시장의 세계적 확장이라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대중음악에서 그저 댄스음악이라 불렸던 K-POP은 이제 전 세계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는 압도적인 주류 장르가 되었고 한국 문화콘텐츠 부분에서도 우수한 강세를 보였다. 한편 BTS의 'IDOL', 이날치의 '범 내려온다' 열풍 이후 2020~2021년 기간 동안 K-POP 아티스트들의 국악 크로스오버 및 전통예술문화를 차용한 사례들은 눈에 띄게 증가했다.
본 연구에서는 2020~2021년 동안 국악을 전공하지 않은 아이돌 가수의 앨범을 전제로 음반과 뮤직비디오가 같이 존재하는 조건 아래 해당되는 사례들을 취합하여 뮤직비디오 속 국악기의 사용 유무, 한국적 가사의 사용 유무, 한국적 배경 유무, 한국적 의상 유무로 나누어 전통예술문화 차용 유무를 검토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로 BTS 멤버 슈가(SUGA)의 '대취타(大吹打)'를 선정하여 분석하여 작품에 전통을 어떠한 방법으로 풀어냈는가를 알아본다. 이를 토대로 2020~2021년 동안 K-POP의 전통적 요소 활용 현황과 K-POP에서 전통적 요소들이 과거에 비해 비교적 꾸준하고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상의 요인을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사례분석, 문헌분석을 통합하여 한국 대중음악과 국악의 크로스오버의 시대적 배경과 흐름을 알아보고 전문가의 인터뷰와 자료분석을 통해 K-POP의 전통적 요소 활용에 대한 현상 발생 요인을 경영철학 영역, 마케팅 영역, 콘텐츠 영역 총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요인분석을 토대로 한 결론을 제공한다.
Korean popular music has evolved and developed in response to social events and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 has now achieved the goal of global music market expansion.
K-POP, formerly known as dance music in popular music, has grown to be a massively popular mainstream genre with millions of fans all over the world, and it has demonstrated exceptional strength in terms of Korean cultural content.
Meanwhile, following BTS' "IDOL" and LEENALCHI's "Tiger Is Coming," the number of cases of K-POP artists borrowing traditional Korean music crossover and traditional art culture increased noticeably from 2020 to 2021.
The study collected cases under the conditions that albums and music videos exist together on the premise of albums by idol singers who did not major in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2020 to 2021 and reviewed whether to us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use Korean lyrics and use Korean costumes in the music videos.
Among them, BTS member Suga's Daechwita is se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how the tradition was solved in the work. Based on this fact, it analyzes the use of traditional elements of K-POP from 2020 to 2021 and the factors of the phenomenon in which traditional elements are being used relatively steadily and frequently compared to the past. The research method integrates case analysis and literature analysis to determine the background and trend of the crossover between Korean pop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rough expert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analyzes the phenomenon factors into four areas: management philosophy, marketing, and content.
저자 : 나준기 ( Na Jun Ki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67-75 (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도시재생의 사이클은 도시의 탄생과 성장으로 확장되며 주거환경의 노후화로 인하여 결국 쇠퇴한다. 그리고 교외에 뉴타운을 건설하며 도시는 확장되었다. 이후 도심재생으로 도시를 지역특성을 강화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사회적 환경을 사람중심으로 활성화시키는 도시공공 환경디자인프로젝트가 적용되고 있다. 어떠한 생각으로 도시공공 환경디자인을 하는지? 기획과 실험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파크(High Line Park)프로젝트는 프랑스 파리의 프롬나드 플랑테(Promenade Plantee)를 벤치마킹하였다. 그리고 시카고의 블루밍데일 트레일(Bloomingdale Trail) 3곳 모두 도심 공중철도 구간의 도시재생 환경디자인으로 지역과 시민을 고려한 창조적인 도시환경디자인으로 재탄생하였다. 그리고 파리시의 히비고슈(Paris rive Gauche), 뉴욕시의 베슬(Vessel) 시카고시의 밀레니움 파크(Millennium Park)까지 6곳의 노후철도 철길이 도시환경 디자인으로 모두 성공적인 랜드마크가 되었다. 부산은 수탈의 목적으로 지어진 경부선의 철길로 오랜시간 동서로 갈라진 도심의 단절을 경부선의 직선화와 도심구간을 지하화 하여 발생하는 부지를 부산의 동서화합과 시민중심 공간으로 6곳의 해외도시환경 디자인의 사례를 통하여 철도 부지를 부산의 도시공공 환경디자인의 랜드마크로 재탄생되도록 기획하여 성공적인2030부산 World Expo가 되기를 바란다.
The cycle of urban regeneration is expanded to the birth and growth of a city, and it is eventually declined by the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ity is expanded when a new town is constructed in a suburb. After that, it is applying the urban public environment design project that strengthen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it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and also vitalizes the human-centered social environment by utilizing the regional resour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sic idea of urban public environment design and the importance of its planning and experiment, the High Line Park Project of New York in the United States benchmarked the Promenade Plantee of Paris in France. And all the three places including the Bloomingdale Trail of Chicago were reborn into the creative urban environment design considering the region and citizens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environment design of downtown public railway section. And all the six decrepit rail yards including Paris rive Gauche, Vessel of New York, and Millennium Park of Chicago became successful landmarks through the urban environment design. In case of Busan, the Gyeongbu(Seoul-Busan) Railroad Lin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itation has caused the severance of downtown split from east to west for a long time. Thus, Busan needs to linearize the Gyeongbu Line, to change the downtown section into underground, and then utilize the yards generated from the process as a citizen-centered space for the harmony of east and west based on the six foreign cases of urban environment design. Hopefully, the rail yards of Busan could be planned to be reborn as a landmark of urban public environment design of Busan, which could be led to the successful 2030 Busan World Expo.
저자 : 김건희 ( Kim Kon Hee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6-85 (1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와 컴퓨터매개의사소통을 활용한 혼합학습기반 실습실교육을 개발,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간호대학 2학년 재학생 59명이 15주로 구성된 혼합수업기반 실습실교과목을 이수하였고, 교과목 이수 전후 임상추론능력, 자기조절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임상추론능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양한 상황에서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병행하여 진행되는 고등교육의 교수·학습 방식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임상추론능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인간을 대상으로 소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간호교육의 특성을 고려할 때 장기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 of a blended learning-based laboratory practicum course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with multimedia. Fifty-nine participants of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leted a blended course consisting of fifteen-week classes. The author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f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e- and post-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spite of the rapid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higher education, wher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are conducted in parallel in various situations, learners' self-regulation and clinical reasoning skills have improved.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targeting human-being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skill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저자 : 신새미 ( Shin Sae Mi ) , 김태균 ( Kim Tae Kyun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86-94 (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대학 교육에서 전면 비대면 수업을 실시하게 되었고 상황이 장기화 됨에 따라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많은 현상과 논의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치 기반 수용모델을 토대로 현재 대학 교육에서 행해지고 있는 비대면 수업 중 비대면 실시간 수업의 지각된 이익(유용성, 즐거움), 지각된 희생(기술적 복잡성, 보안 위험성)과 지각된 가치 및 지속적 사용 의도 간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총 113명의 비대면 실시간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이 비대면 실시간 수업을 통해 학습하며 지각하는 이익(유용성, 즐거움)과 희생(기술적 복잡성, 보안 위험성)은 비대면 실시간 교육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가치 또한 지속적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대면 실시간 교육서비스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교육의 중요성과 가능성이 대두되었고 미래 교육방식으로써 비대면 교육서비스의 사용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서비스의 안정화와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론적 자원을 제공하고, 비대면 교육서비스 설계에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The COVID-19 has led to non-face-to-face classes nationwide in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prolonged situation has led to many phenomena and discussions about non-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a value-based adoption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benefits (availability, pleasure), perceived sacrifices (technical complexity, security risk) and perceived value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s of non-face-to-face real-time classe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university education. A survey of 113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non-face-to-face real-time classes has shown that perceived benefits (availability, pleasure) and sacrifices (technical complexity, security risk)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ived value of non-face-to-face real-time class services. In addition, perceived valu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learn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services. Furthermore,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non-face-to-face education has emerged due to COVID-19, and the use of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s as a future education method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resources for stabilizing and continuing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s, and presents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s.
저자 : 종약진 ( Zhong Ruo Chen ) , 신인식 ( Shin In Sik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간행물 :
조형미디어학
2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95-104 (1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중국의 페미니즘이 발전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브랜드들이 여성에 대한 지지, 여성차별과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반대하는 페미니즘 광고를 통해 사회와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정서과 태도를 전달하고 있다. 본 연구는 SK-II의 중국어 페미니즘 광고 6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롤랑바르트의 신화학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광고의 신화적 구성과 의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SK-II 페미니즘 광고는 은유, 배열, 대조 수사 기법을 사용하여 독립적이고, 아름답고, 자신감이 넘치고, 강하고, 우수하고, 성공적인 여성상과 사회적 고정관념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살고자 노력하는 일반적 여성의 신화 등 두 가지 여성 신화를 구성했다. 또한 SK-II는 광고 신화적 구성을 통해 여성의 현실적 어려움과 운명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의 운명을 바꾸도록 장려하는 브랜드 정서와 태도를 전파하고 있다. SK-II 페미니즘 광고 신화는 다양한 의미가 있다. 우선 브랜드에 대한 의미이다. SK-II 페미니즘 광고는 정서소구적인 관념광고를 통해 소비자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SK-II 브랜드는 성공적으로 여성에 대한 관심, 여성의 운명에 대한 브랜드 정서와 여성의 운명 변화를 지지하는 브랜드 태도를 전파했다. 두 번째는 소비자에 대한 의미이다. 여성 소비자는 광고에서 관심과 지지를 얻고 남성 소비자는 광고를 보면서 여성의 느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에 대한 의미이다. 사회적으로 여성차별문제에 대한 사고를 유도하고 페미니즘에 대한 사회의 잘못된 인식을 변화시키며 남녀의 성대립을 변화시키고 사회문명발전을 촉진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feminism in China, more and more brands are communicating brand emotions and attitudes to society and consumers by disseminating feminism advertisements that support women and oppos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female stereotypes. This research selects 6 Chinese feminist advertisements of SK-II as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Roland Barthes mythology, an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to carry out myth construction and meaning analysis of advertisem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SK-II feminism advertisements use metaphor, parallelism, and contrasting rhetoric methods to construct two sets of female myths. They are independent, beautiful, confident, powerful, excellent, successful female images and images that ordinary women who work hard to solve problems and make their lives better. Moreover, SK-II spreads the brand's emotions and attitudes of caring about women's real difficulties, caring about women's destiny, and encouraging women to change their destin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dvertising myths. The SK-II femvertising myth has many meanings. First of all, it is the meaning of the brand. It resonates with consumers through the conceptual advertising of emotional appeals and establishes advertising identity. On this basis, the SK-II brand has successfully spread The brand emotions that care about women and the fate of women, and the brand attitude that supports women to change their fate. The second is the significance to consumers. Female consumers have received care and support from advertisements, while male consumers can better understand women's feelings by watching advertisements. Finally, it is the significance to the society, to guide the society to think about the issue of female discrimination, to change the society's misunderstanding of feminism, to improve the gender antagonism between men and women,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ocial civilization.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