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nstrosity and the Otherness in “La doble y única mujer” by Pablo Palacio
1. 서론 2. 사회 속의 타자 3. 자아 속의 타자 4. 결론 참고문헌
파블로 팔라시오(Pablo Palacio)는 20세기 초 에콰도르의 아방가르드 운동을 선두한 작가로, 그의 단편집 『발에 차여 죽은 사나이 Un hombre muerto a puntapiés』(1927)는 당시 에콰도르 사회에서 비정상으로 치부되었던 타자들을 작품의 전면에 등장시키고, 이를 통해 이들이 타자로 기능하도록 조장하는 사회의 규범을 문제시했다. 본고는 이 단편집에 수록된 「둘이자 하나인 여자 La doble y única mujer」를 중심으로 샴쌍둥이 화자의 형상화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일인칭 시점에서 서술되는 작품은 샴쌍둥이라는 예외적 타자에게 목소리를 부여하며 “이중적인 괴물(monstruos dobles)”의 시각을 창조해낸다. 본고는 샴쌍둥이 화자가 사회 안의 타자라는 하나의 존재로 취급되는 동시에, ‘첫 번째 나’와 주체를 위협하는 타자로서 ‘두 번째 나’를 분리하여 두 개의 다른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이 작품이 사회/개인 내부에서 괴물처럼 나타나는 타자라는 두 층위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엮어내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사회 속 타자에 대한 억압기제가 개인의 내부에서 되풀이 되는 것을 확인하고, 타자의 목소리를 포착하려 하는 작품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Un hombre muerto a puntapiés(1927) by Pablo Palacio, an Ecuadorian writer who was one of the Avant-Garde´s precursors in Latin America in the first decades of the 20th century, turns its gaze to the Others who were considered abnormal in contemporary Ecuadorian society. This work, by placing Others in the foreground, questions the social norms that keep them out of the bourgeois world. In this study I will try to analyze a story entitled “La doble y única mujer” from the aforementioned book,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Siamese twin protagonists. The story is told in the first person, by means of which the author gives voice to the peculiar Other or, as the protagonist defines them herself, to the “monstruos dobles”. We will see how this work manages to superimpose the social and individual dimensions, by describing the narrator as the Other in society while defining her as two different beings in conflict, where the first self treats the second self as the Other who threatens his ego. And in this way we will verify that the mechanism of repression on the social Other is repeated within the individual in order to see that the work seeks to capture the voice of the Other.
I410-ECN-0102-2022-900-00099145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41권 1호 |
|
64권 0호 |
|
14권 2호 |
|
24권 1호 |
성균중국관찰 |
39권 0호 |
성균차이나브리프 |
10권 3호 |
|
32권 2호 |
|
15권 1호 |
|
27권 1호 |
성균차이나브리프 |
10권 2호 |
|
45권 1호 |
|
28권 0호 |
|
56권 2호 |
|
11권 2호 |
|
32권 2호 |
Acta Via Serica |
7권 1호 |
|
15권 1호 |
|
32권 1호 |
|
24권 2호 |
|
32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