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10.17643/KJCE.2021.30.4.04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경향성과 각각의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의 유아교육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20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경향성을 SPSS 22.0의 기술통계로 분석하고, 각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AMO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변인별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로동기, 학습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에 의하면 학습 동기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진로동기와 학습동기는 양방향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 동기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진로동기는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간접적인 부적영향이 있었으나 이는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변인간 구조적 관계의 유의성을 토대로 향후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1 students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 SPSS 2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MOS 24.0 program was used for structu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each variab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motiv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found to be high in order. Second, Learning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ch was found to be at a significant level. There was a two-wa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career motiva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addition, career motivation ha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this was not at a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in that they present basic data were provided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410-ECN-0102-2022-300-00082805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73권 0호 |
|
28권 2호 |
|
13권 2호 |
|
23권 1호 |
|
65권 2호 |
|
16권 2호 |
|
22권 4호 |
|
19권 4호 |
|
26권 1호 |
|
64권 0호 |
|
25권 2호 |
|
34권 1호 |
|
23권 2호 |
|
12권 3호 |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
3권 1호 |
|
61권 1호 |
|
77권 0호 |
|
38권 1호 |
|
82권 0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