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검색어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
논문 상세보기
홈한국아동교육학회>아동교육>부부 의사소통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의 결혼생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의 가정 내 노동 분담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부부 의사소통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의 결혼생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의 가정 내 노동 분담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uples’ Communication on the Happiness in Marriage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Sharing of Work at Home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부 의사소통과 배우자의 가정 내 노동 분담 만족도가 결혼생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정 내 노동 분담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의 7차 연도(2018년도)’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목적에 맞게 한정하여 추출한 후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부 의사소통과 가정 내 노동 분담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와 돌봄노동 분담 만족도는 결혼생활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부 의사소통은 결혼생활 행복감을 27%를 설명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와 돌봄노동 분담 만족도가 추가되었을 때 각각 9%와 1%의 설명력이 추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부부 의사소통은 결혼생활 행복감에 대해서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와 돌봄노동 분담 만족도를 매개하였을 때도 간접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의 결혼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로, 어머니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arried couples’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domestic labor on the happiness in marriage for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The second is to confirm the mediated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domestic labor" on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on on the happiness in marriage'. In this study, the panel data of KLoWF(Korean Longitude Survey of Women and Family) made for the 7th year in 2018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e couples’ communic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domestic chores and caring work, which are sub-factors of domestic labor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happiness in marriag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ples' communication is the variable which explains 27% of the happiness in marriage. Furthermore, The result suggested that 9% and 1% of explanatory power were added respectively when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domestic chores and caring work were added. Third, the couples' communic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happiness in marriage, and indirect effects were also shown when the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domestic chores and caring work was mediated. This study was about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happiness of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Thus, it wa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improving mother's happiness.
UCI(KEPA)
I410-ECN-0102-2022-300-000828038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교육
: KCI등재
:
: 계간
: 1226-2722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1-2022
: 1547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